본문 바로가기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은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2021)에서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 후보물질 ‘DWN12088’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호주 임상 1상에서 다양한 인종의 건강한 성인 72명을 대상으로 단회용량상승(SAD)시험과 다회용량상승(MAD)시험을 진행했다. SAD시험에서 참가자들은 DWN12088 100~600mg을 경구복용 했으며 MAD시험에서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이 다음달로 다가온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재발 또는 불응성(r/r)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반감기를 늘린 IL-7(interleukin-7) 약물인 ‘NT-I7(efineptakin alfa)’과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를 병용투여한 임상1b/2a상 결과를 첫 공개한다. 또한 새롭게 진단받은 교모세포종(high-grade gliomas, HGG)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치료법인 방사선·화학치료후 NT-17를 투여해 안전성과 효능을 평
공모주 청약규모가 1조원을 넘어서는 에스디바이오센서(SD Biosensor)가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돌입한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을 위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다. 총 공모주식수는 1555만2900주로 공모희망가는 6만6000~8만5000원, 공모 예정가는 최대 1조3220억원 규모다. 에스바이오사이언스는 6월 10~11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 후 15~16일 청약을 거쳐 6월 24일 상장을 목표로 한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올해 1분
재미한인제약인협회(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KASBP) 창립 20주년을 맞아 최근 바이오·제약 분야에 키워드로 부각되고 있는 인공지능(AI), 디지털 기술 등 ‘데이타 과학 기반의 신약개발 (Data science-driven drug discovery)’을 테마로 심포지엄이 개최된다. 이번 2021 KASBP 봄 심포지엄은 온라인으로 열리며, 오는 다음달 3일에서 5일까지(미 동부시간 기준) 3일에 걸쳐 열린다. 이번 심포지엄은 유한양행과 한미약품 등이
뷰노(Vuno)는 18일 AI기반 심정지 예측 솔루션 '뷰노메드 딥카스™(VUNO Med®–DeepCARS™)'의 원내 심정지 예측 성능을 입증한 임상연구논문이 국제학술지 ‘Resuscitation’에 게재됐다고 밝혔다(doi: 10.1016/j.resuscitation.2021.04.013). 뷰노메드 딥카스™는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 등에서 수집한 혈압(이완기, 수축기), 맥박, 호흡, 체온의 5가지 활력징후(vital sign)를 기반으로 향후 24시간 내 심정지 발생 위험 예측 정보를 제공해 의료진의 사
순환종양세포(CTC) 기반의 액체생검 기업 싸이토젠(Cytogen)이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을 대상으로 3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키로 결정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싸이토젠은 조달 자금의 용도에 대해 임상비용 220억원, 시설비용 20억원, 연구개발비 30억원, 운영자금 30억원 등이라고 밝혔다. 사채의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모두 0%며, 사채의 만기일은 2024년 5월 20일이다. 주당 전환가액은 6만5599원이며, 주가하락에 따른 리픽싱(전환가액 조정) 최저 조정가액은 4만5920원이다. 전환청
순환종양세포(CTC) 기반의 액체생검 기업 싸이토젠(Cytogen)은 역분화줄기세포(iPSC) 기반 NK 세포 치료제 및 신약 개발 기업인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TSD Life Sciences)에 3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SI)를 진행한다고 17일 공시했다. 싸이토젠은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의 상환전환우선주를 30억규모로 보유하게 된다. 또한 두 회사는 전략적 기술적 협력을 통해 NK세포 세포치료제와 차세대 표적항암제 개발에 특화된 바이오마커를 선별하며, 동반 진단(CDx) 개발을 지원·협력하게 된다.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는 N
한미약품과 제넥신은 총 245억원(부가세 포함) 규모의 GX-19N 생산 공정개발 및 위탁생산(CMO)에 대한 1차 계약을 체결하고 GX-19N의 글로벌 상용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18일 밝혔다. 이 계약에 따라 한미약품은 평택 바이오플랜트 제2공장에서 ▲GX-19N 상용화 생산 공정 및 분석법 개발 ▲상용화 약물의 시생산 ▲허가에 필요한 서류(CTD) 작성 등을 수행한다. 양사는 이른 시일내 긴급사용 승인을 받고 시판될 GX-19N의 상용화 물량에 대한 공급계약도 2차로 추가 체결할 예정이다. 제넥신의 GX-19N은 SA
항체 라이브러리와 엔지니어링 기술을 보유한 세라노틱스(Theranostics)와 약물전달플랫폼 전문기업 프로셀테라퓨틱스(ProCell Therapeutics)는 지난 4일 항체 기반 신약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세라노틱스는 △완전인간 항체 △면역 △도메인항체 등 3종의 항체 라이브러리를 자체 구축 하고 있다. 프로셀은 단백질소재 바이오 신약 또는 바이오 베터 개발을 위한 약물전달시스템(DDS)인 '거대분자 세포내 전송기술(MITT)'을 기술로 보유하고 있어, 기존 항체가 접근바힉 어려운 세포내까지
와이바이오로직스(Y Biologics)는 지난 13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하고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올해 1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해 기술성평가 결과 A, A 등급을 받은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이번 IPO 추진으로 확보된 자금으로 ▲임상1상 단계의 PD-1 항체 ‘YBL-006’의 임상2상 개발과 희귀암 적응증에서 허가 추진 ▲신규 항체 파이프라인 발굴·확장해 지속적인 기술이전 파트너십 체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021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563억원, 영업이익은 315억원, 당기순이익은 315억원을 기록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0.2%, 영업이익은 43.5% 감소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유럽에서 주요 제품 처방이 견조하게 이뤄짐과 동시에 미국에서 처방 확대가 지속되면서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단 일시적으로 미국향 공급 일정 조정과 일회성 비용의 발생으로 영업이익률은 하락했지만, 올해 신규 제품 출시 및 기존 제품의 판매 지역 확대 등 주요 이벤트들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실적
체외진단기업 프리시젼바이오(Precision Biosensor)가 바이오센서 전문기업 아이센스(i-sens), 동물용 진단장비 전문 유통업체 바이오벳(Biovet)과 동물용 임상화학 검사기 ‘Exdia PT10V’ 및 카트리지에 대한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공급계약은 올해 하반기부터 향후 5년간에 해당하는 계약으로 총 187억원 규모다. 프리시젼은 지난 3월 독일 스킬(Scil Animal Care Company GmbH)과 동물용 임상화학 검사기 및 카트리지 장기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 동물용
파노로스바이오사이언스(Panolos Bioscience)는 17일 시리즈A로 2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밝혔다. 파노로스의 현재까지 누적투자금은 315억원이다. 이번 투자에는 전략적 투자자인 OCI를 포함하여, 클라우드아이비인베스트먼트, UTC인베스트먼트, 케이클라비스인베스트먼트, JL파트너스 등 5곳이 참여했다. 파노로스바이오는 이번 투자금을 △핵심 파이프라인 ‘PB101’의 2022년 임상 1상 진입 △추가 파이프라인 개발 △인력 및 시설 확충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파노로스는 독자적인 약물 개발 플랫폼인 αART(Ant
알테오젠(Alteogen)은 올해 1분기 개별기준 매출액 69억원, 당기순이익 18억원을 기록했다고 17일 공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올해 1월 정맥주사를 피하주사로 바꾸어 주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의 글로벌 제네릭 회사인 인타스 파마슈티컬(Intas Pharmaceuticals)과 2가지 바이오제품 개발을 위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 이후 계약금 등으로 총 69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알테오젠은 인타스와 2개 바이오제품 피하주사 제형 개발에 대한 독점적인 글로벌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면서 계약금 600만달러를 받았
줄기세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송지환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교수가 2019년 7월 설립한 아이피에스바이오(iPS BIO)가 시리즈A로 총 8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포스코기술투자가 리드했으며, 코오롱인베스트먼트, LSK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아이피에스바이오는 앞서 시드 투자로 슈미트(Schmidt)로부터 투자를 받았으며, 팁스(TIPS)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송지환 대표는 "이번 투자금은 GMP 임상등급 세포주를 제작하는데 주로 투입될 예정이다. 현재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환자 유래
SK바이오사이언스는 17일 안동공장 L하우스에서 가동 중인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의 코로나19 백신 제조를 위한 생산시설 및 공정, 품질시스템이 유럽 유럽의약품청(EMA)이 승인하는 EU-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국내 백신 제조시설이 EU-GMP를 획득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GMP는 우수한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 원료의 구입부터 제조, 품질 관리, 출하 등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엄격한 관리 기준을 적용해 인증하는 제도다. L하우스는 △세포배양 △세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노보노, ‘경구 GLP-1’ 비만3상 2년만에 “美 허가신청”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로슈, 美생산·R&D에 500억弗 투자.."비만 등 新시설"
HK이노엔, '케이캡' 美3상 "1·2차 종결점 모두 도달"
비아이케이, TOP1 기반 '인테그린 PDC' AACR서 "공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롯데바이오로직스, 아시아 기업과 "ADC 생산계약"
셀트리온, '짐펜트라' 3상 102주 연장연구 "논문 게재"
루닛, 日NCCE와 'AI' 엔허투 효능 등 “ASCO 12건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