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은 14일 코로나19 항체 ‘렉키로나’가 뉴욕(B.1.526), 나이지리아(B.1.525), 인도(B.1.617)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중화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뉴욕, 나이지리아, 인도, 브라질 변이형(P.1)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항체와 혼합해 숙주 세포에 감염시킨 후 항체가 바이러스를 저해하는 정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렉키로나의 중화능력 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렉키로나는 뉴욕, 나이지리아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중화능력을 보였다. 셀트리온은 최근 해외 연구기관에 의뢰해
박재성 엑소좀플러스 CTO는 13일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해 엑소좀을 대량으로 배양해, 고효율로, 균일한 품질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과 함께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엑소좀 및 약물을 탑재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며 “신부전증, 쇼그렌증후군 유래 안구건조증, 황반변성에 대한 치료제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엑소좀은 거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는 30~150nm크기의 소포체로 안에 DNA, RNA 등이 포함되어 있어 세포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치료제로의 엑소좀은 △세포간 유전적정보를 안정적으로
목암생명과학연구소는 지난 13일 사이러스 테라퓨틱스(Cyrus Therapeutics)와 ‘ARM(Antibody Recruiting Molecule)’ 플랫폼을 활용한 항암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정재욱 목암생명과학연구소장, 김병문 사이러스 테라퓨틱스 대표 등 양측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구에서 목암연구소는 타깃 발굴, 선도물질 선정, 물질 효력 평가를 위한 인비트로/인비보(in vitro/in vivo) 연구를 담당한다. 사이러스 테라퓨틱스는 선도물질의 디자인, 합성, 구조 활성관계
의료기기 스타트업 스카이랩스(SkyLabs)가 시리즈B로 225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4일 발표했다.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약 343억원이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모루자산운용, 수인베스트먼트캐피탈 등과 함께 신규 투자사로 KB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LB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발표에 따르면 스카이랩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유럽, 미국 등 글로벌 임상 연구와 마케팅을 강화해 해외 헬스케어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다양한 만성질환 모니터링 기기 허가 및 출시, 우수한 인
의료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업체 메디픽셀(Medipixel)이 65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신규 투자기관으로 미래에셋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와 기존 투자자인 쿼드자산운용, AI엔젤클럽개인투자조합이 참여했다. 메디픽셀은 심혈관 조영영상에서 협착이 발생한 혈관 부위를 자동으로 찾아 협착 정도를 수치로 보여주는 AI 솔루션 'Medipixel XA'를 개발했다. 지난 1월에는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인증을 받았다. 메디픽셀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주혈관뿐 아니라 주
엠디뮨(MDimune)은 13일 경북대 산학협력단과 세포유래 베지클(cell-derived vesicle, CDV) 관련 특허기술 도입 및 연구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엠디뮨은 인체 유래세포를 기반으로 CDV(Cell-derived Vesicles, 세포 유래 베지클)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엠디뮨은 CDV에 다양한 약물을 탑재해 표적 조직으로 전달하는 ‘바이오드론(Biodrone)’ 플랫폼을 개발해 왔다. 엠디뮨이 경북대로부터 인수한 특허는 안병철 경북대 교수가 개발한 적혈구 유래 엑소좀 유사체를 포함하는 물질
피노바이오(Pinotbio)가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 HREC)로부터 난소암·방광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DNMT(DNA Methyltransferase) 저해제 ‘NTX-303’의 병용투여 임상 1/2상을 승인받았다고 13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백금계 내성 말기 난소암·방광암 환자가 중심이 된 125명의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2023년까지 진행될 계획이다. 피노바이오는 먼저 일반 고형암 환자 대상 단독투여를 통해 안전성 및 허용용량을 확인한 후, 난
글로벌 전임상 CRO 아나패스(Anapath)가 암질환과 자가면역질환 신약개발 회사인 카나프 테라퓨틱스(Kanap Therapeutics)와 신약 전임상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아나패스 코리아는 지난 12일 판교에서 카나프테라퓨틱스 이병철 대표와 아나패스의 회장 클라우스 웨버(Klaus Weber) 박사, 아나패스 코리아 손국진 대표가 참석해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아나패스는 카나프가 개발하는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 개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공동연구를 이어나가게 된다. 카나프는
노인성질환을 타깃한 바이의약품을 개발하는 메디스팬(MediSpan)이 시리즈A로 65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로써 메디스팬은 총 82억원 이상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DSC인베스트먼트, 스타셋인베스트먼트, 티그리스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는 "이번 투자유치를 바탕으로 파이프라인 확대에 기초한 후보물질 도출과 세포주 구축을 완료하고, 2023년까지 후보물질 개발과 생산에 필요한 절차를 완료할 것”이라며 “2024년경에는 타겟 노인성 질환의 임상시험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연
부광약품은 12일 코로나19 치료제 ‘레보비르’의 임상 2상(CLV-201) 탑라인 결과 주평가변수를 충족시키지 못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부광약품은 중등도 코로나19 환자 61명을 위약군 20명과 레보비르 투여군 41명으로 나눠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부광약품은 관찰종료시점인 치료 29일차에 레보비르 투여군과 위약군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음성 전환율이 각각 85.3%, 70.6%인 결과를 확인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주평가변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부광약품은 레
셀트리온(Celltrion)은 연결기준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1분기 매출액 4570억원, 영업이익 2077억원으로 영업이익률 45.4%를 나타냈다고 12일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22.6%, 영업이익은 72.8%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 주요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 확보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의 공급 확대 등으로 인해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판관비 감소, 생산효율성 개선, 고수익 제품 매출 확대에 따라 40%대의
지놈앤컴퍼니(Genome&Company)는 자회사 사이오토 바이오사이언스(Scioto Biosciences)에서 ‘ABT(Activated Bacterial Therapeutics) 플랫폼’의 효능에 대한 결과를 의학전문지 ‘뇌∙행동∙면역(Brain, Behavior, and Immunity)’에 게재했다고 12일 밝혔다. ABT 플랫폼은 바이오필름(biofilm)을 이용해 치료 효능이 있는 미생물이 장에 잘 도달되고 효능이 지속되도록 설계된 미생물 전달 플랫폼이다. 사이오토는 이번 논문에서 동물 실험을 통해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씨젠은 12일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93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88%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1분기 매출은 3518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30%, 당기순이익은 1642억원으로 388% 늘었다. 씨젠은 진단키트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 생산능력 확충, 핵심인력 채용 등 투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1분기 영업이익률이 55%로 견실한 실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명건 씨젠 전무는 “전세계적으로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많은 나라들이 ‘Back to School’, ‘Back
아이엠비 디엑스(IMB Dx)는 208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B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인터베스트,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BSK인베스트먼트와 신규투자자인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Gabmar Vitae, Olympic Funds가 참여했다. 아이엠비는 투자금을 NGS기반 다중마커 액체생검 서비스의 글로벌 진출과 미세잔존종양 확인 및 종양 조기진단을 위한 플랫폼 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다. NGS기반 다중마커 액체생검은 혈액내 암세포로부터 떨어져 나온 ctDNA(Circulating Tumor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의 바이오신약 '랩스트리플 아고니스트(LAPSTriple Agonist, HM15211)'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추가 지정됐다. 이는 대사와 관련된 호르몬 글루카곤과, GIP, GLP-1을 활성화하는 삼중 작용제(agonist)다. 한미약품은 지난 10일(미국 현지시각) FDA가 LAPSTriple Agonist를 특발성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체료제로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탈모와 피부질환 관련 신약개발 바이오텍 에피바이오텍(Epibiotech, 이전 스템모어)가 102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기존 주주인 한국투자파트너스와, KTB네트워크, 이앤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으며, 신규 투자자로 IMM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이 참여했다. 에피바이오는 2019년초 탈모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인정받아 한국투자파트너스와 KTB 네트워크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에피바이오는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자체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모유두세포(dermal follicle papilla cel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노보노, ‘경구 GLP-1’ 비만3상 2년만에 “美 허가신청”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로슈, 美생산·R&D에 500억弗 투자.."비만 등 新시설"
HK이노엔, '케이캡' 美3상 "1·2차 종결점 모두 도달"
비아이케이, TOP1 기반 '인테그린 PDC' AACR서 "공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셀트리온, '짐펜트라' 3상 102주 연장연구 "논문 게재"
루닛, 日NCCE와 'AI' 엔허투 효능 등 “ASCO 12건 발표”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