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3D메디슨(3D Medicines, 思路迪医药)이 26일 알파맵(Alphamab Oncology, 康宁杰瑞), 심시어(Simcere, 先声药业) 등과 공동개발한 최초의 피하주사제형(SC) PD-L1 항체치료제 ‘엔바폴리맙(Envafolimab, 恩沃利)’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엔바폴리맙은 이전에 화학요법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진행성 대장암(colorectal cancer)을 포함한 MSI-H/dMMR 변이 진행성 고형암 적응증을 대상으로 승인됐다. 발표에 따르면 MSI-H/
델타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더 강할 것으로 여겨지는 오미크론(omicron) 변이형이 나타나 확산되고 있다. WHO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19 돌연변이형에 대해 ‘오미크론(omicron, B.1.1.529)’으로 명명하고 우려종(variant of concern)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오미크론은 많은 수(a large number of mutations)의 돌연변이를 지니고 있으며,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 다른 우려종 변이형과 비교해 재감염(r
화이자(Pfizer)가 아이오니스(Ionis Pharmaceuticals)로부터 라이선스인한 심혈관질환 및 중증 고중성지방혈증(severe hypertriglyceridemia, SHTG) 안티센스 신약 '부파노센(vupanorsen)'이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혈중 지질농도를 낮추며 긍정적인 질환 개선효과를 보였다. 아이오니스는 지난 24일(현지시간) 화이자가 공개한 이상지질혈증 및 고지혈증 환자 대상 부파노센 임상 2b상의 결과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은 스타틴(Statin) 투여경험이 있는 이상지질혈증(Dyslipidem
치료제가 없던 기존 항바이러스제 불응성 거대세포바이러스(CMV) 감염에 대한 첫 치료제가 나왔다. 다케다 파마슈티컬(Takeda Pharmaceutical)은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pUL97 저해제 ‘리브텐시티(Livtencity, maribavir)’를 이식후(post-transplant)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감염에 대한 치료제로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라모나 센케이라(Ramona Sequeira) 다케다 미국사업부(U.S. Business Unit) 사장은 “리
미국 머크(MSD)가 최근 자사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NRTIs) HIV 신약 ‘MK-8507’ 관련 임상을 중단한데 이어, 길리어드(Gilead)가 자사 HIV 치료제 ‘레나카파비어(Lenacapavir)’와 머크의 HIV 치료제 ‘이슬라트라비어(Islatravir)’ 병용임상을 일시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백혈구 감소 부작용에 따른 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해 임상 프로토콜 수정할 계획이다. 길리어드는 지난 23일(현지시간) 머크와 공동으로 진행중인 레나카파비어 및 이슬라트라비어 병용 임상 2상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발
치료제가 없던 초희귀암(ultra-rare cancer)인 악성 혈관주위상피세포종(perivascular epithelioid cell tumor, PEComa)에 대한 첫 치료제가 나왔다. 미국 아디 바이오사이언스(Aadi Bioscience)는 23일(현지시간) 희귀암인 성인 국소 진행성 절제불가능 또는 전이성 악성 혈관주위상피세포종(PEComa)에 대한 치료제로 ‘파이아로(Fyarro, sirolimus(rapamycin) albumin bound nanoparticles)’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최초로 승인받았
암 백신 및 면역치료제 개발회사 백시바디(Vaccibody)가 사명을 뉴코드 테라퓨틱스(Nykode Therapeutics)로 변경했다. 백시바디는 같은날 리제네론(Regeneron)과 9억2500만달러 규모의 백신개발 파트너십까지 체결하며 뉴코드로의 새 출발을 알리게 됐다. 뉴코드는 지난 23일(현지시간) 리제네론과 암, 감염질환 백신의 발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십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리제네론은 뉴코드에 3000만달러의 계약금을 지급하며, 2000만달러의 지분투자를 진행했다. 또한 뉴
비포파마(Vifor pharma)가 사니핏 테라퓨틱스(Sanifit Therapeutics)를 3억7500만유로에 인수하며 혈관 석회화(vascular calcification) 저해제를 신장질환 파이프라인에 추가했다. 비포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스페인 사니핏을 3억7500만유로(약 4억2140만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비포는 사니핏에 2억500만유로(약 2억3000만달러)의 계약금과 상업화전(precommercial) 마일스톤으로 최대 1억7000만유로(약 1억9100만달러)를 지급한다. 또한 사니핏은 비포로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AZ)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영국 캠브리지에 위치한 R&D 허브 디스커버리 센터(The Discovery Centre, DISC)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10억파운드(약 13억달러) 규모로 설립한 새로운 시설에서 로봇공학, HTS(high-throughput screening),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등을 사용해 정밀의약품(precision medicines), 뉴클레오티드(nucleotide) 기반 약물, 유전자편집기술, 세포치료제 등을 발굴 및 개발한다
중국 시스톤 파마슈티컬(CStone Pharmaceuticals)은 지난 21일 중국 항서제약(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에 CTLA-4 항체 ‘CS1002’의 중국내 연구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라이선스아웃(L/O)하는 2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르면 시스톤은 항서제약으로부터 계약금과 향후 마일스톤을 합쳐 총 2억달러를 지급받는다. 시스톤은 향후 판매에 따른 두자릿수 로열티는 별도로 항서제약으로부터 받는다. 항서제약은 CS1002의 중국내 독점적 연구, 개발,
신경정신질환 신약 개발회사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Neurocrine Biosciences)가 치매, 조현병(Schizophrenia) 등 정신질환 발병에 관여하는 ‘무스카린 M1, M4 수용체’ 에셋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 소세이 헵타레스(Sosei Heptares)와 27억달러의 빅딜을 체결했다. 뉴로크라인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소세이와 무스카린 수용체 작용제(Agonist) 후보물질의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뉴로크라인은 소세이에 계약금 1억달러를 지급한다. 이후 치료제의
GSK가 애로우헤드(Arrowhead Pharmaceuticals)의 NASH 치료제로 임상 1/2상 연구중인 GalNAc RNAi ‘ARO-HSD’의 중화권외 지역에 대한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10억3000만달러 규모로 사들였다. ARO-HSD는 초기 임상 1상 중간분석에서 NASH 또는 NASH 의심환자의 ALT, AST 등 간수치를 낮추고, 간지방증 지표인 MRI-PDFF를 감소시킨 결과를 보였다. 현재 경쟁사인 앨라일람/리제네론(Alnylam/Regeneron)의 NASH RNAi ‘ALN-HSD’는 NASH 환자 128
바이오마린 파마슈티컬(BioMarin Pharmaceutical)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복스조고(Voxzogo, vosoritide)’를 성장판(growth plates)이 열린 5세 이상 연골무형성증(achondroplasia) 치료제로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 받았다고 밝혔다. 연골무형성증 치료제로는 최초의 FDA 승인이다. 바이오마린은 지난 8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로부터 복스조고의 시판허가를 받았다. 바이오마린은 다음달
미국 머크(MSD)의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NRTIs) 기반 HIV 신약 ‘MK-8507’가 임상도중 백혈구 감소 부작용이 발생하며 임상 및 개발이 중단됐다. 머크는 지난 18일(현지시간) HIV-1 감염환자를 대상으로 NNRTIs 약물 MK-8507과 자사 HIV 치료제 ‘이슬라트라비어(Islatravir)’의 병용요법에 대한 안전성, 내약성 및 효능 평가 임상 2상 진행상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임상 도중 NNRTIs 기반 신약 MK-8507과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전위 억제제(NRTTI) 이슬라트라비어
미국 브릿지바이오파마(BridgeBio Pharma)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약사 헬신 파마슈티컬(Helsinn pharmaceutical group)과 저분자화합물 기반 항암제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비독점적(non-exclusive)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브릿지와 헬신은 우선 전임상 단계의 GPX4 저해제를 난치성 종양(difficult-to-treat tumors)을 대상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향후 다른 저분자화합물의 개발도 진행한다. 이번 계약은 지난 3월 브릿지바이오가 헬신과 FGFR(fibroblast
셀트리온은 22일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가 페루 의약품관리국(Dirección Nacional de Medicamentos, DIGEMID)으로부터 조건부 사용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페루 의약품관리국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페루에서 유통되는 모든 의약품은 의약품관리국의 품목허가(Registro Sanitario)를 받아야 한다. 렉키로나는 한국, 미국, 스페인, 루마니아 등 전세계 13개국 코로나19 경증 및 중등증 환자 13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임상 3상 결과 안정성과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