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SK(GlaxoSmithKline)가 영국 옥스퍼드대(University of Oxford)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신경질환 신약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소를 옥스퍼드대에 신설했다. GSK는 퇴행성뇌질환 임상실패에 따라 신경질환 관련 신약연구 부문을 축소했던 빅파마로 알려져있다. 지난 2017년 8월 GSK는 신경계 질환 연구를 주도한 상하이 R&D 연구소를 폐쇄할 정도로 신경과학 포트폴리오 및 연구가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나있는 상태였다. 그러나 GSK는 지난 7월 신경면역 바이오텍 알렉토(Ale
아스텔라스(Astellas)가 다이노(Dyno Therapeutics)와 골격근 및 심장근육(skeletal and cardiac muscle)에 대한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해 16억달러 규모 딜을 체결했다. 이번 딜은 아스텔라스가 집중하고 있는 유전자치료제 부분의 포트폴리오 강화의 일환으로 보인다.아스텔라스는 지난 2019년 아우덴테스(Audents Therapeutics)를 30억달러에 인수하면서 아스텔라스 유전자치료제연구센터(Astellas Gene Therapies Center of Excellence)를 설립했다.
GSK(GlaxoSmithKline)는 지난 2일(현지시간) 비어 바이오텍(Vir Biotechnology)과 개발한 코로나19 항체 ‘소트로비맙(sotrovimab)’이 전임상에서 오미크론(omicron, B.1.1.529)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중화효능를 보였다고 밝혔다. 소트로비맙은 지난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경증에서 중등도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긴급사용승인(Emergency Use Authorization)을 받았다. GSK는 오미크론이 가진 개별 돌연변이에 대한 슈도(pseudo) 바이러스
사노피(Sanofi)는 지난 1일(현지시간) 호주 오리짐 바이오테크놀로지(Origimm Biotechnology GmbH)를 인수하기로 계약했다고 발표했다. 오리짐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관 피부질환 백신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으로 이번 인수절차는 이달 초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계약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계약에 따르면 사노피는 오리짐의 재조합 단백질 기반 심상성 여드름(acne vulgaris) 치료용 백신 후보물질 ‘ORI-001’을 자사 파이프라인에 추가한다. ORI-001은 현재 심상성 여드름 대상 임상 1상(N
버텍스(Vertex Pharmaceuticals)는 지난 1일(현지시간) APOL1 저해제 ‘VX-147’의 APOL1 매개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FSGS) 임상2상에서 환자들의 요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율(UPCR)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 결과를 내놨다. 버텍스는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내년 1분기에 VX-147의 허가임상(pivotal development)을 시작할 계획이다. APOL1 매개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은 APOL1 유전자의 기능획득(gain of f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플랫폼 ‘Pharma.AI’를 이용해 발굴한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대상 저분자화합물 치료제 후보물질 ‘ISM001-055’의 임상(first-in-human study)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인실리코는 이번 특발성 폐섬유증의 후보물질 발굴부터 전임상 완료까지 단 18개월이 걸렸으며, 자금은 약 260만달러를 사용했다. 발표에 따르면 해당 임상은 현재 호주에서 진행 중으로,
리제네론(Regeneron)이 오미크론(omicron)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기존 백신이나 항체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예상을 내놨다. 리제네론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오미크론(omicron, B.1.1.529)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코로나19 항체 칵테일 ‘REGEN-COV(casirivimab+imdevimab)’와 다른 항체치료제 후보물질들의 효능을 평가 중이라고 밝혔다. 리제네론은 “현재까지 오미크론 변이형에 대해 백신이나 항체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한 데이터는 없다”며 “다만 오미크론 변
핫스팟 테라퓨틱스(HotSpot Therapeutics)는 지난 29일(현지시간) 시리즈C로 1억달러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핫스팟은 이번 투자금을 인공지능(AI) 기반 알로스테릭 조절제(allosteric modulator) 발굴 플랫폼인 Smart Allostery™의 고도화와 파이프라인 확대, 종양과 자가면역질환을 대상으로 개발 중인 알로스테릭 저해제를 임상 단계로 진입시키는데 사용할 계획이다. 핫스팟의 AI 기반 Smart Allostery™ 플랫폼은 화학물질 라이브러리(chemical library)를 이용
미국 크리스탈 바이오텍(Krystal Biotech)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국소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비주벡(VYJUVEK, B-VEC)’이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Dystrophic Epidermolysis Bullosa, DEB) 임상3상 탑라인 결과에서 유의미한 상처회복 비율로 1차종결점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크리스탈은 내년 상반기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비주벡의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 소식이 전해진 후 크리스탈의 주가는 전일 종가대비 121.65% 상승했다. 이영양성 수포성 표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가 미국 머크(MSD)의 경구용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의 긴급사용승인(EUA)에 승인권고 결정을 내렸다.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FDA 항미생물약물 자문위원단(ADAC)은 지난 30일(현지시간) 미국 머크(MSD)의 항바이러스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MK-4482)’의 긴급사용승인(EUA)에 대해 찬성 13표, 반대 10표로 승인권고 결정을 내렸다. 머크의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몰누피라비르는 중증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은 환자로만 제한적으로 처방될 가능성이 높고, 임신중에는 복용
벡톤디킨슨(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D)이 미국 샌디에고의 토리뷰(Torrey View)로 바이오사이언스부문(BD Biosciences) R&D센터를 확장이전하기로 했다고 지난 22일(현지시간) 부동산 개발회사인 Breakthrough Properties가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확장이전 예정인 BD의 R&D 센터는 Breakthrough 소유의 토리뷰 생명과학 단지에 위치하게 된다. BD는 Breakthrough로부터 22만제곱미터(㎡) 규모의 건물공간을 임대할 예정이다. 토리뷰는 생명과학산업 클
조절T세포(regulatory T cell, Treg) 기반 세포치료제 개발회사 쿠엘 테라퓨틱스(Quell Therapeutics)가 지난 29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1억5600만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라운드는 쿠엘의 창립을 지원했던 신코나(Syncona)와 제이토(Jeito Capital), 릿지백(Ridgeback Capital Investments), SV(SV Health Investors), 피델리티(Fidelity Management & Research Company LLC) 등이 리드했으며,
사이토다인(CytoDyn)은 지난 24일(현지시간) CCR5 항체 ‘레론리맙(Leronlimab, PRO 140)’의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임상2상 중간결과에서 환자들이 섬유화(fibrosis) 및 지방비율지표가 감소한 긍정적 결과를 발표했다. 사이토다인은 이번 임상2상을 오픈라벨군(30명)과 이중맹검군(60명)으로 나눠서 진행했다(NCT04521114). 이번에 발표된 중간결과는 오픈라벨군에 대한 분석이다. 발표에 따르면 오프라벨군에서 환자들은 14주간 매주 350mg의 레론리맙을 피하투여(SC) 받았다. 1차종결점은 14
이탈리아 소재 항체∙저분자 약물발굴 바이오텍 필로젠(Philogen SpA)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자회사 필로켐(Philochem AG)과 얀센(Janssen) 자회사 얀센바이오텍(Janssen biotech)이 저분자 리간드(ligand) 신약발굴을 위한 파트너십 및 옵션딜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얀센은 필로켐의 DNA-암호화 화학물질 라이브러리(DNA-Encoded Chemincal Libraries, DELs) 플랫폼을 기반으로, 특정 타깃에 결합할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의 발굴을 진행한다. 또한 얀센은 발굴된 저분자 리
미국 카디프 온콜로지(Cardiff Oncology)는 지난 18일(현지시간) 화이자(Pfizer)가 ‘화이자 혁신성장 이니셔티브(Pfizer Breakthrough Growth Initiative, PBGI)’를 통해 1500만달러 규모의 지분투자를 했다고 발표했다. 화이자는 카디프 주식을 주당 6.22달러에 240만주를 사들였다. 카디프는 이번 투자금을 경구용 PLK1(Polo Like Kinase 1) 저해제 ‘온밴서팁(onvansertib)’을 이용해 진행중인 3개의 항암제 임상과 적응증 확대 연구에 사용할 계획이다. 카디
쿠라 온콜로지(Kura oncology)는 지난 24일(현지시간) 'KO-539'로 진행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임상 1b상에서 사망환자가 발생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중단을 요청받았다고 밝혔다. 환자의 사망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쿠라는 이번 사망이 KO-539와 같은 분화유도약물(differentiating agent)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분화증후군(differentiation syndrome)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분화증후군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발열, 체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