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움바이오(Tiumbio)는 면역항암제로 개발하는 TGF-ß/VEGFR 저해제 ‘TU2218’와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병용투여 임상이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의 ‘세부3 신약 임상개발 과제’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티움바이오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으로부터 향후 2년간 TU2218의 키트루다 병용임상에 대한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티움바이오 관계자는 “올해 말 TU2218과 키트루다의 병용투여 임상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티움바이오는 앞서 올해 2월과 6월, 베이진(BeiGene)과 미국 머크
보로노이(Voronoi)는 흡입용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VRN13’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R&D 생태계 구축연구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에 따라 보로노이는 VRN13의 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연구개발비를 2년간 지원받는다. VRN13은 폐동맥고혈압의 원인인 폐동맥평활근 증식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표적치료제(targeted therapy)이다. 폐동맥평활근 이외 폐를 구성하는 다른 세포에 영향을 최소화해 안전성과 효능을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파킨슨병 후보물질 ‘ABL301(α-SynxIGF1R)’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 변경신청서를 제출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달 30일 FDA에 제출한 ABL301의 IND 제출건에 대한 변경신청이다. 이번 변경신청에 따라 임상1상에서 다중용량증량시험(MAD) 코호트가 제외됐으며, 단일용량증량시험(SAD) 코호트가 변경되면서 전체 대상자 숫자가 줄어들었다. 이전 에이비엘바이오가 제출한 IND는 건강함 피험자 68명이 대상이었으며, SAD 코호트 6개(48명)와
앰틱스바이오(AmtyxBio)가 4주치료만으로 손발톱무좀(onychomycosis)에 증상개선 효과를 보이는 속효성 항진균제를 개발한다. 기존 항진균제들이 가진 12~48주의 오랜 치료기간, 낮은 치료효과, 높은 재발률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승 앰틱스바이오 대표는 지닌 4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2 LOG IN IR EXPO 100’에서 “진균의 세포막 합성을 막는 새로운 기전을 가진 항진균제 후보물질의 임상 1상 중간분석에서 빠른 증상개선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해 신속하게 임상을 완료하고
지놈앤컴퍼니(Genome&Company)는 7일 CNTN-4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ENA-104’가 2022년 3차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의 비임상 개발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놈앤컴퍼니는 이번 과제선정을 통해 GENA-104의 연구개발비로 약 15억원을 2년에 걸쳐 지원받게 된다. GENA-104는 지놈앤컴퍼니의 신약개발플랫폼 ‘지노클(GNOCLE™)‘을 통해 발굴한 신규타깃 CNTN-4를 억제하는 면역관문억제제 후보물질이다. 기존 승인받은 PD-(L)1 타깃 면
동아에스티(Dong-A ST)는 7일 튀르키예(구 터키)의 폴리파마(Polifarma)와 빈혈치료제 ‘네스프(Nesp, darbepoetin-α)’ 바이오시밀러 ‘DA-3880’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아웃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폴리파마는 50개국 이상의 글로벌 판매망을 갖춘 튀르키예 소재 제약사다. 미국, 유럽, 브라질, 멕시코 등에 진출해 500개 이상의 의약품 수출 및 허가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DA-3880의 튀르키예, 브라질, 멕시코 독점 개발 및 판매권을 폴리파마에
절대혐기성(strict anaerobic)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기업 헬스바이옴(Health Biome)은 4일 시리즈B로 1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에는 기존 투자자 케이런벤처스, 엘앤에스벤처캐피탈, 산은캐피탈이, 새로운 투자자로는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다. 헬스바이옴은 여기에 더해 한국벤처투자로부터 스케일업 매칭펀딩으로 연내 20억원을 추가로 투자받기로 확정했으며, 이에따라 연말 시리즈B의 총 규모는 120억원으로 마감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헬스바이옴은 이번 투자금을 항암제로 개발중인 리딩파이프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이 내달 미국 혈액암학회(ASH 2022)에서 CD19 CAR-T ‘킴리아’와 반감기를 늘린 인터루킨-7(IL-7) 약물 ‘NT-I7(efineptakin alfa)’을 병용투여한 초기 임상1b상 결과를 첫 공개한다. 이번에 발표하는 것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 거대B세포림프종(LBCL) 환자에게 두 약물을 병용투여해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데이터이다. 3일(현지시간) ASH 2022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CAR-T에 NT-I7를 추가 투여하는 것은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이나
ZTI바이오사이언스(ZIT Bioscience)가 나노입자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탑재해 난소암 등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방사성의약품으로 임상개발에 나선다. 장형석 ZTI바이오 대표는 지난 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2 LOG IN IR EXPO 100’에서 “산화철(rion-oxide) 기반 나노입자에 요오드-131(iodine-131), 악티늄(actinium-225)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탑재해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며 “리드 에셋은 고형암에서 발현되는 엽산수용체(folic acid receptor, FR)를 타깃하
아이씨엠(ICM)이 퇴행성질환인 골관절염에 대한 DMOAD(disease modifying osteoarthritis drug)를 목표로 Nkx3.2 AAV유전자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DMOAD는 관절의 통증완화, 기능개선 효과뿐 아니라 조직재생 등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골관절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김대원 아이씨엠 대표는 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2 LOG IN IR EXPO 100’에서 “현재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ICM-203의 호주 임상 1/2상에서 환자 7명에게 투여를 완료했으며, 미국
알지노믹스(Rznomics)가 자사 플랫폼 기술과 프로그램 개발 진행현황을 공개했다. 홍성우 알지노믹스 개발본부 부사장은 지난 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2 LOG IN IR EXPO 100’에서 발표를 진행했다. 알지노믹스는 RNA 치환효소(RNA replacement enzyme) 플랫폼으로 RNA 타깃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알지노믹스의 플랫폼은 트랜스 스플라이싱(trans-splicing)을 일으키는 리보자임(ribozyme)과 치료효능 유도물질을 암호화한 치료유전자(therapeutic transgene)를
광동제약(Kwangdong Pharmaceutical)은 mRNA 선두 바이오텍 모더나(Moderna)와 업무제휴(MOU)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두 회사는 최근 광동제약 본사에서 ‘코로나19 2가 백신 파트너십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광동제약 최성원 대표이사와 모더나 미국 본사의 백신담당 패트릭 베르그스테드(Patrick Bergstedt) 수석부사장, 손지영 모더나코리아 대표이사 등 주요 임원진이 참석했다. 이날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광동제약은 모더나의 코로나19 2가 백신 ‘스파
뉴클릭스바이오(NuclixBio)는 드노보 바이오테라퓨틱스(De novo Biotherapeutics)와 원형 RNA(circular RNA, circRNA) 기반 NK세포 인게이저(NK cell engager) 항체치료제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양사는 뉴클릭스바이오의 원형 mRNA(circular mRNA) 플랫폼 ringRNA™를 기반으로 드노보 바이오테라퓨틱스의 NK cell engager 이중항체를 체내에서 발현시키는 컨셉의 치료제에 대한 공동연구 및 기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가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분야로의 확장 계획을 공개했다. 이를 위해 CGT 플랫폼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의 CDMO와 인수합병(M&A), 조인트밴처(JV) 설립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코로나19 외 자체개발 백신 사업과 연구개발(R&D) 및 생산인프라를 확장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생산을 중단했던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의 공급을 내년부터 정상화하고,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의 영업을 강화한다. 또 인천 송도 글로벌 R&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오는 27일부터 내달 1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2년 북미 영상의학회(RSNA 2022)에서 AI 의료영상 분석 솔루션 관련 연구결과 11건을 발표한다고 2일 밝혔다. 루닛은 실제 의료 현장에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적용한 실제 처방 데이터(Real World Data) 연구 결과에 대한 구두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연구는 이미 처방이 끝난 과거의 기록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기존의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와 달리, 실제
HK이노엔(HK inno.N)은 국내 바이오텍 셀인셀즈(Cell in Cells)와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organoid)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HK이노엔의 세포유전자치료제 센터가 맡은 첫 위탁생산 계약이다. 계약에 따라 HK이노엔은 셀인셀즈가 개발하고 있는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치료제 후보물질의 국내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오가노이드 치료제는 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해 만든 인체장기 유사체를 손상된 장기 부위에 이식해 재생할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
대웅제약, 씨어스·ACK와 '스마트 병상모니터링'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