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유래 세포치료제 개발사 입셀(YiPSCELL)은 8일 미토콘드리아 치료제 개발사 파이안바이오테크놀로지(Paean Biotechnology)와 iPSC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한 재생의료 치료제 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제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증식된 세포 또는 조직에서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치료제(Mitotherapy)로 개발하고 있는 파이안바이오테크놀로지와 입셀은 양사 전문지식, 기술력을 합쳐 iPSC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공동연구를 통
씨티셀즈(CTCELLS)는 8일 대장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EGFR 타깃 이중항체 ‘RACE-111’이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의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씨티셀즈는 이번 과제선정에 따라 현미부수체 안정형(MSS) 대장암에 대한 RACE-111의 전임상 후보물질 도출을 목표로 향후 2년동안 12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씨티셀즈는 MSS 대장암을 포함한 모든 대장암에서 RACE-111의 전임상을 마무리하고 이후 제조공정(CMC) 단계까지 진행하겠다는 목표다. RACE-111은 씨티셀즈가 MSS 대장암을
애스톤사이언스(Aston Sci.)는 8일 미국 텍사스에서 열린 SABCS 2022(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2022)에서 다중항원(multi-antigen) 항암백신 후보물질 ‘AST-302’의 임상 1상(NCT02780401)에서 항원특이적 면역반응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발표 연자로는 매리 디시스(Mary L. Disis) 워싱턴대 암백신연구소 최고책임자이자 애스톤사이언스 공동연구진이 나섰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1상은 비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HER2, IGFB
유바이오로직스(Eubiologics)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유코백-19'의 부스터샷 임상 1/2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유코백-19 부스터샷 1/2상은 국내 서울 은평성모병원 등에서 만 19세 이상 건강한 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안전성, 내약성, 면역원성 등을 평가한다. 이번 IND승인은 다양한 코로나19 백신으로 기초접종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유코백-19를 부스터샷(추가접종)하는 경우에서의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최근 유행하는 변이주 등에 대한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의 랩스커버리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첫 미국 시판허가 바이오의약품 ‘롤베돈(ROLVEDON™, eflapegrastim; 한국 제품명 롤론티스)’이 미국국가종합암네트워크(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가 포함된다. 롤베돈은 반감기를 늘린 G-CSF 약물이다. 개발 파트너사인 스펙트럼 파마슈티컬(Spectrum Pharmaceuticals)은 6일(현지시간) NCCN이 제시하는 열성 호중구감소증 예방 및 치료 옵션 가이드라인에 롤베돈이 포
지놈앤컴퍼니(Genome&Company)가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 치료제 후보물질 ‘GEN-001’로 진행중이던 고형암 대상 임상1/1b상을 중단한다. 6일 공시에 따르면 지놈앤컴퍼니는 독일머크와 화이자와의 협의를 거쳐 GEN-001과 PD-L1 항체 ‘바벤시오(Bavencio, avelumab)’ 병용요법으로 진행중이던 고형암 대상 임상1/1b상을 조기종료하기로 결정했다. 대신 진행중인 위암 임상2상에 집중하기로 했다. 지놈앤컴퍼니는 지난 2020년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GEN-001+바벤시오 병용요법에 대한 고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는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재조합단백질 대상포진 백신 후보물질 ‘CVI-VZV-001’에 대한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차백신연구소는 지난 2월 CVI-VZV-001의 대상포진 국내 임상1상 IND 신청을 자진취하 한 바 있다. 당시 식약처가 IND에 대해 요청한 추가 자료 일부의 확보가 지연됐다는 이유에서 였다. 차바이오텍은 지난 5월 해당 약물로 대상포진 임상1상 IND를 재신청했고, 이번 임상1상 진입을 승인받게 됐다. 이번
아름테라퓨틱스(Arum Therapeutics)가 자사 DDR(DNA damage reponse) 저해기반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공개했다. 아름은 기존 시판되고 있는 DDR 저해제 타깃 외에 추가적인 DDR 타깃을 함께 저해함으로써 DNA 손상을 극대화하는 전략과, 기존 DDR 저해제의 내성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 다른 항암제와 병용투여로 효능을 높이는 전략 등 3가지 주요 접근법을 기반으로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아름이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은 △화학항암제 내성 대장암, 삼중음성유방암(TNBC) 대상CHK2/MERTK 저해제 △M
프로티움사이언스(PROTiUM Science)는 이연제약(Reyon Pharmaceutical)과 바이오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양사는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 및 노하우, 연구개발 능력, 생산시설 등을 기반으로 CDMO 사업 운영에 대한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사업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CDO(위탁개발), CMO(위탁생산), CDMO(위탁개발생산) 등 바이오의약품의 전주기 개발과 생산에 대한 협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
에트노바테라퓨틱스(Etnova therapeutics)는 6일 간세포암 mTKI(multiple tyrosine kinase inhibitor) 약물 ‘ETN101(MBP-119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2022년 3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연구 비임상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에 따라 에트노바테라퓨틱스는 향후 2년 동안 ETN101의 비임상 완료, 임상시험위원회(IRB) 승인서 및 임상시험자료집(IB) 작성 등을 수행하고 내년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 승인에 필요한 연
이뮨온시아(ImmuneOncia)가 후발주자로서 틈새암종 전략으로 개발하고 있는 NK/T세포 림프종 대상 PD-L1 단클론항체인 ‘IMC-001’의 임상2상 중간결과에서 전체반응률(ORR) 60%를 얻었다. 또한 약물반응을 보인 모든 환자에게서 완전관해(CR)를 확인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뮨온시아는 이같은 IMC-001의 임상2상 중간결과가 싱가포르에서 열린 유럽임상종양학회 아시아(ESMO Asia Congress 2022)에서 미니구두발표 세션에 선정됐으며, 임상책임자(PI)인 김원석 삼성서울병원 교수가 4일(현지시간) 발표를
앱티스(AbTis)는 5일 론자(Lonza)와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s, ADC) 개발에 사용하기 위한 ADC 링커 플랫폼 기술협력(framework)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앱티스의 앱클릭(AbClick) 링커 기술은 론자의 바이오접합(bioconjugation) 툴박스 기술 중 하나로 포함될 예정이다. 론자는 고객사의 요청으로 ADC 약물개발 시 앱클릭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앱티스는 해당 고객사와 별도의 라이선스 계약을 맺을 수 있다. 앱티스의 앱클릭 기술은 돌
이뮤노바이옴(ImmunoBiome)은 5일 ‘네트워크에 기반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암 환자에 대한 면역관문억제제 치료효과와 전체 생존률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탐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국내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해당 기술은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14만여 명의 엑솜(Exome) 서열 정보와 400여개의 세포주 스크리닝 정보를 결합해 약물 표적 유전자의 위험성을 계산한다. 유전자 위험성을 기반으로 임상시험이 완료된 약물의 성공 여부를 학습하고 새로운 표적에 대한 성공률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지난 6월
중추신경계(CNS) 전문 CRO인 나손사이언스(Naason Science)가 3년만에 대면으로 열린 신경과학 분야 최대규모 학회 SfN 2022(Society for Neuroscience Meetings 2022)에서 자체 개발한 외상후스트레스(PTSD) 모델을 공개했다. 지난 2019년부터 국제과제 개발사업인 유로스타2(Eurostars 2)를 통해 개발한 모델로 올해 7월 특허출원을 마쳤다. 또한 나손사이언스는 이번 SfN에서 질환을 확장하는 움직임으로 지난 몇년동안 자체 연구개발한 전임상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자체 개발한 다중 생체신호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첫 연구 사례를 공개했다. SK바이오팜은 2일에서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리는 미국 뇌전증학회(American Epilepsy Society, AES 2022)에서 뇌전증 증상 모니터링에 대한 선행연구를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발표는 김헌민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이 포스터 발표를 통해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SK바이오팜의 디바이스는 8시간 이상 연속 뇌파 측정이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는 2일 동아에스티(Dong-A ST)와 차세대 IgM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규물질 발굴 및 사업화 기회 모색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암과 염증성질환 분야에서 표적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물질 발굴하게 된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의 차세대 IgM 플랫폼기술을 활용한 항체개발 경험과 역량에 동아에스티의 바이오의약품 공정개발, 제조, 평가기술 전문성을 더해 시너지를 기대한다. 향후 두 회사는 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전략을 공동으로 수립해, 물질 기술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
대웅제약, 씨어스·ACK와 '스마트 병상모니터링'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