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테오젠(Alteogen)은 특허 대리인으로부터 재조합 인간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ALT-B4’의 제형특허를 일본에 등록했다는 소식을 전달받았다고 27일 밝혔다. ALT-B4는 정맥주사용 바이오의약품을 피하투여(SC) 제형으로 바뀌기 위한 전달기술이다. 이번 특허는 고객사의 제안에 따라 전세계 100여개국 판매 대상 국가에 개별 진입하는 전략의 일환에 따른 것이다. 알테오젠은 이번 특허 등록을 통해 연간 200억~300억달러 규모의 매출이 예상되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품 SC제형의 지적재산권 보호가 개별 국가별
SK바이오사이언스는 27일 국제 비영리연구기관인 힐레만연구소(Hilleman Laboratories)와 신규 백신 및 플랫폼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힐레만연구소는 미국 머크(MSD)와 의료연구지원재단 영국 웰컴트러스트(Wellcome Trust)가 합작투자해 지난 2009년 설립한 연구기관이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중·저개발국의 백신공급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신규 백신 기초연구 △후보물질 선정 △제조공정 개발 △임상연구 등 백신 R&D 전 과정에 걸쳐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힐레만
KIST 연구소기업 큐어버스(Cureverse)는 아나패스(Anapath Services GmbH)와 신약 후보물질의 연구개발에 대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큐어버스가 개발하고 있는 뇌염증 조절기전 치매치료제 후보물질을 포함해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전반에 대한 비임상/임상 연구 및 전략 수립을 위해 체결됐다. 아나패스는 비임상 전문 GLP 인증 시험기관으로, 병리분야에 강점을 가진다. 난치성 뇌질환 치료 신약개발 기업 큐어버스는 과기정통부의 창업 유도형 R&D 사업인 ‘바이오스타과제’와 KIST
동아에스티(Dong-A ST)는 지난 26일 이사회에서 25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자사주매입은 27일부터 시행되며, 회사는 자사 보통주 5만301주를 취득하게 된다. 이번 자사주매입은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시행된다. 동아에스티는 앞으로 1년간 4번에 걸쳐 자사주 매입을 진행할 예정으로, 이에 따른 자사주 매입 규모는 100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번 25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은 그 일환이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신약 후보물질 DA-1241과 DA-1726의 기술수출과 함께 미국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고바이오랩(KoBioLabs)은 이마트와 함께 설립한 건강기능식품 합작법인 위바이옴(weBiom)이 진행하는 100억원 규모의 증자에 51억원을 투자하며 참여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증자는 위바이옴 설립시 합작투자계약에서 설정한 마일스톤을 달성해 진행된 것으로, 고바이오랩은 위바이옴에 대한 기존 지분을 그대로 유지한다. 위바이옴은 고바이오랩과 이마트의 상호 합작투자계약에 따라 올해 3월에 설립됐다. 고바이오랩으로부터 고기능성 미생물 소재들을 도입하는 한편 미생물 대량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하락장 속에서도 올해 3분기말 기준 연간 누적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730억원(6억4700만달러), 영업이익 3247억원(2억4000만달러)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모두 94% 증가한 수치이며, 제품판매량이 증가하고 환율상승 효과에 따른 영향이다. 영업이익률은 37%를 기록했다. 이로써 올해 누적 매출액(1~3분기)은 연결기준 2조358억원(영업이익 6708억원)으로,
유한양행 계열사인 유한건강생활은 26일 인벤티지랩과 의료용 대마 후보물질을 이용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및 상업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에 따르면 이번 공동연구 계약은 인벤티지랩이 보유한 장기지속 주사제 개발 및 제조 플랫폼 기술인 IVL-DrugFluidic을 유한건강생활이 보유한 의료용 대마 후보물질 ‘YC-2104’에 적용해 최소 1개월에서 최대 3개월까지 효과가 지속되는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양사는 장기지속형 후보물질 도출, 효력시험, 독성시험, 임상시험 등의 전체 연구개발 과정을 공동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6일 유럽 주요 5개국에 속하는 영국, 독일에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Vegzelma, bevacizumab)’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영국, 독일에 베그젤마를 런칭하고, 북유럽 주요국인 핀란드에서 헬싱키(Helsinki), 우시마(Uusimaa) 지역 병원입찰(tender)에 참여해 베그젤마 수주에 성공했다. 이번 입찰은 핀란드 베바시주맙 시장의 30%에 해당하는 규모로 내년 초부터 1년 동안 베그젤마 공급이 이뤄질 예정이다. 베그젤마는 셀트리온헬스케어가 트룩시마, 허쥬마에 이어 세 번째
HK이노엔(HK inno.N)이 유럽학회에 참석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K-CAB, 성분명: 테고프라잔)’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최신 임상결과 3건을 공개했다. 케이캡은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CAB)이다. HK이노엔은 최근 유럽 헬리코박터학회(EHMSG 2022)와 유럽 소화기학회(UEGW 2022)에 참가해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인 ‘케이캡’의 최신 연구결과 3건을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먼저 지난달 8일부터 10일까지 영국에서 열린 EHMSG 2022에서 정준원 가천대 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보령(Boryung)이 일라이릴리(Eli Lilly)의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알림타(Alimta, pemetrexed)’의 국내 권리를 7000만달러(한화 1003억원)에 사들였다. 보령은 알림타와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으로 최근 알림타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그 시장성을 기대하면서 인수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보령은 계속해서 항암제 에셋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보령은 25일 릴리와 항암제 알림타에 대한 이같은 내용의 자산 양수·양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보령은 이번 딜을 통해 릴리로부터 알림타에 대한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는 25일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와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CEPI는 미지의 감염병(Disease-X)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중∙저개발국 백신 공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자 백신 개발사들을 대상으로 ‘신종 선별 풍토성 감염병 RNA 백신 플랫폼기술 및 백신 라이브러리 개발’ 과제를 추진했으며, 해당 과제의 첫번째 선정 사례로 SK바이오사이언스를 택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와 라싸열(Lassa fever) 바이러스를 mRN
보령(Boryung)은 지난 24일 보령이 100% 지분을 보유한 리큐온(Recuon)의 흡수합병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합병은 리큐온의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합병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에따른 합병비율은 1:0으로 산출됐다. 합병이 완료된 후 보령의 중요 경영방침, 임원의 구성방법 등에 관한 변동사항은 없다. 합병 계약일은 오는 28일이며, 주주확정 기준일은 11월 9일, 합병관련 주주총회 예정일자는 11월 25일이다. 보령은 이번 흡수합병으로 중복되는 사업을 통합해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고, 유망한 파이프라
한국거래소는 24일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해 코오롱티슈진에 대해 상장유지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코오롱티슈진은 25일부터 주식 매매거래가 재개된다. 코오롱티슈진은 지난 2019년 5월 코스닥시장에서 주식매매거래가 정지된 후 3년 5개월만에 거래를 재개하게 됐다. 한성수 코오롱티슈진 대표는 “오랜시간 회사를 믿고 기다려준 주주들에게 보답할 것”이라며 “인보사(TG-C) 임상 3상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 병원관리청(SEHA)과 AI 영상분석 솔루션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최근 서울 강남구 루닛 본사에서 루닛 장민홍 최고사업책임자(CBO), SEHA 아프라 라쉬드 사이드 암사야드 안니야디(Dr. Afra Rashed Saeed Almesaied Alneyadi) 영상의학 전문의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SEHA의 이번 한국 방문은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개최된 'K-HOSP
큐롬바이오사이언스(Curome BioSciences)는 지난 21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원발성경화성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SC) 대상 치료제 후보물질 ‘HK-660S(Beta-lapachone)’의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 (IND)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큐롬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021년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PSC 대상 HK-660S의 IND를 승인받아 국내 임상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FDA IND 신청은 글로벌 임상개발로 범위를 확대하고자하는 목적이다. 원발성경화성담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의 첫 글로벌신약인 약효지속형(long-acting) G-CSF 약물 ‘롤베돈(ROLVEDON™, eflapegrastim-xnst)’이 미국 시장에 나왔다. 한국 제품명은 롤론티스로 국내에서는 지난해 4분기부터 출시된 제품이다. 한미약품 파트너사인 미국 스펙트럼 파마슈티컬(Spectrum Pharmaceuticals)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허가 승인을 받은 롤베돈이 미국 전역에서 출시됐다고 21일(현지시각) 밝혔다. 롤베돈은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암 환자에게 발생하는 중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
대웅제약, 씨어스·ACK와 '스마트 병상모니터링'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