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바이오로직스는 보툴리눔 톡신 ‘유비톡스주 100단위’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지난 28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유바이오로직스는 만 19~65세 성인의 눈썹주름근(corrugator muscle) 또는 눈살근(procerus muscle) 활동과 관련된 중등도에서 중증 미간주름 개선을 적응증으로 한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중등도에서 중증 미간주름을 가진 임상참여자 281명을 대상으로 기존 승인된 보톡스®주 대비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임상을 8개월간 진행했다. 유비톡스주는 투여 후 4주차와 16주차 분석에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기업 유비케어는 29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29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하지만 1분기 영업이익은 22억원, 당기순손익은 12억원으로 각각 32.9%, 86.1% 감소했다. 회사에 따르면 주력 사업인 EMR(전자의무기록) 부문의 안정적 매출과 EMR 부가서비스 확대 및 유통사업의 시너지효과가 더해진 것이 매출성장을 이끌었다. 실제 병·의원/약국 대상의 EMR부문 매출은 14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 늘었고, 유통부문 매출도 123억원으로 13%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지니너스(Geninus)는 오는 6월 열리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싱글셀(single cell) 기반 환자 맞춤형 항암백신의 초기 연구결과, 액체생검 기반 대장암 조기진단 기술개발 결과 등 2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이번 ASCO에서 지니너스는 싱글셀(단일세포) 기술에 기반한 항암백신의 초기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지니너스는 고형암 환자의 암 조직을 시퀀싱해 제조한 신항원(neogantigen)과 T세포의 반응을 예측하고, T세포에 결합하는 신항원이 더 높은 암 면역반응을 일
대웅제약은 28일 연결기준 매출액 2984억원, 영업이익은 23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0.7%, 2.2% 증가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고수익성 제품 위주의 전문의약품(ETC) 매출 성장과 나보타 수출증가가 수익성과 영업이익 개선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ETC 부문은 전년동기 대비 9% 증가한 197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나보타'는 전년동기 대비 98% 급증한 307억원의 매출액을 올렸으며, 특히 나보타의 수출금액은 79억원에서 228억원으로 늘어났다. OTC 부문은 전년동기 대비 대비 12% 증가한 297억원의 매출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 마련된 별도의 전시장에서 ADIO(autologous organoid based discovery for immuno-oncology drug) 플랫폼에 대한 소개발표를 진행했다. 발표는 전시장에 위치한 Exhibitor spotlight theaters에서 진행됐으며 이경진 오가노이드사이언스 CTO가 발표했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신약개발의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발 초기에 임상결과를 잘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며,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은 오는 6월 3일부터 7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2년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2)에서 자체 진행한 연구와 공동연구를 합해 11개의 발표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각각 포스터 7건과 온라인 발표 4건을 진행하게 된다. 루닛은 지난 2019년부터 매년 ASCO에서 연구초록을 발표해왔으며, 올해는 총 11건으로 가장 많은 수를 발표하게 됐다. 이번 ASCO에서 루닛은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Lunit SCOPE IO)’를 활용해 암 환자별 면역학적 형질
항암신약 개발 바이오텍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는 자체 개발중인 KRAS 변이암 치료제 개발 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기반 확충 연구과제’에 선정되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티씨노바이오는 향후 2년 동안 과제수행을 통해 KRAS 변이암을 표적하는 신약 선도물질을 도출할 예정이다. RAS는 대표적인 발암유전자로 RAS GTPase(KRAS, NRAS, HRAS)에 변이가 일어나면 암세포 성장, 증식, 전이 등을 유발한다. 그중 KRAS 변이가 가
인공지능(AI)기반 신약개발회사 스탠다임은 29일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표현학습국제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ICLR)의 신약개발 머신러닝워크숍(Machine Learning for Drug Discovery Workshop, MLDD Workshop)에서 AI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28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ICLR은 AI분야에서 활용되는 딥러닝 핵심 기술과 관련된 전세계 연구들이 공유되는 학회다. 이중 MLDD 워크샵은 신약개발과 관련한 최신 AI
GC녹십자는 28일 캐나다 아퀴타스 테라퓨틱스(Acuitas Therapeutics)와 LNP 기술 라이선스인(L/I)에 대한 개발 및 옵션계약(Development and Op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르면 GC녹십자는 mRNA 백신 또는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아퀴타스의 LNP 기술을 최대 4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계약금 등 상세 계약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LNP는 mRNA를 나노입자로 감싸 체내에 전달하는 약물전달시스템으로 mRNA 기반 약물의 개발에 있어 핵심적인 기술이다. 특히 아퀴타스의
대사항암제 개발 메타파인즈(MetaFines)가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28일 밝혔다. 2018년 회사 설립후 시리즈A로 90억원을 투자받은것을 포함해 총 29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이번 투자금으로 리드프로그램 'ASCA101'의 국내 임상과 글로벌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회사측은 밝혔다. 이번 시리즈B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자로 DSC인베스트먼트, 한국비엠아이 등이 후속투자자로 참여했으며, 신규투자자로 한국투자증권, 프로디지인베스트먼트, 메리츠증권, 메리츠캐피탈, 기업은행, 아이피벤처스/중동파이낸스, 에
대웅제약은 27일 CAR-NK 세포치료제 개발 바이오벤처 유씨아이테라퓨틱스와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MOU를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웅제약과 유씨아이테라퓨틱스는 양사의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생산기술을 바탕으로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GMP 생산설비를 확충하는 한편, 유씨아이테라퓨틱스가 개발하는 CAR-NK 세포치료제의 비임상/임상 시료 CMO를 담당한다. 협약기간은 체결일로부터 5년이다. 유씨아이테라퓨틱스는 지난 2020년 설립된 바이오벤처로 유전자 도입을 통한 NK세포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27일 2022년 1분기 매출 5113억원, 영업이익 1764억원을 기록, 역대 분기 최대실적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1분기 매출은 1, 2, 3공장의 안정적 가동에 따른 제품 판매량 확대 및 환율상승 효과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9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37%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35%를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글로벌 바이오 기업’을 향한 도약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회사는 지난 20일 바이오젠에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 인수 1차 대금(10억 달러) 납부를 완료
GC셀(GC cell)은 올해 1분기 잠정 연결기준 매출액 838억원, 영업이익 361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공시했다. GC셀은 지난해 11월 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의 합병을 통해 탄생한 통합법인으로, 면역세포와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생산 회사다. 지난해 1분기 녹십자랩셀의 매출은 273억원, 녹십자셀은 114억원으로 총 387억원을 기록했었다. 통합법인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의 2배를 넘어서는 실적이다. 이번 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캐시카우인 검체검사사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19
오스템임플란트(Osstem Implant)의 주식 매매거래가 4개월만에 재개된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주식매매는 지난 1월 횡령·배임 혐의로 정지됐다. 한국거래소는 27일 기업심사위원회 심의결과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해 상장유지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다음날인 28일부터 매매거래가 재개될 예정이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전날 올해 1분기 잠정 매출액 234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36.5% 증가한 수치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100.5% 증가한 512억원을 기록했다.
올릭스는 27일 중추신경계(CNS) 타깃 asiRNA가 설치류 모델의 뇌 조직에서 표적 유전자 발현을 75~90% 감소시킨 결과를 밝혔다. CNS 질환을 타깃하기 위한 자가전달 비대칭 siRNA(asiRNA) 플랫폼 'sp-asiRNA' 평가를 위한 설치류 모델 연구결과다. 올릭스는 CNS 질환을 표적하기 위해 화학적변형을 도입한 asiRNA를 최적화하고, 척수강 내에 1회 투여했다. 그 결과 치료물질이 척수뿐만 아니라 뇌 조직까지 전달돼 표적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는 결과를 확인했다. 회사측은 혈액뇌장벽(BBB)을 피해 약물을
지투지바이오(G2Gbio)는 26일 한화제약과 B형간염바이러스(HBV) 치료를 위한 서방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지투지바이오는 제형개발과 임상시험용 시료 및 상업용 제품제조를 담당한다. 한화제약은 서방형 주사제에 대한 임상시험, 인허가, 국내외 판매 등을 담당한다. 주사제 개발에는 지투지바이오의 ‘이노램프(InnoLAMP)’ 기술이 활용될 예정이다. 이노램프는 생체분해성 고분자로 기존 약물을 균일한 미립구로 제조해 체내 투여 시 약효가 오래 지속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양사는 매일 규칙적으로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