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라노틱스는 23일 자체개발 중인 합성 완전인간항체 라이브러리 프로젝트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시장확대형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세라노틱스는 기존에 개발한 합성 완전인간항체 라이브러리를 고도화하는 비용을 2024년까지 지원받게 된다. 세라노틱스의 합성 완전인간항체 라이브러리는 현재 항원-항체 결합부위(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중 항원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VH(heavy chain variable region) CDR3
SK바이오사이언스는 23일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의 수출을 시작하며 중남미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월 UN산하 국제기구인 범미보건기구(pan america health organization, PAHO)의 3127만달러(약 374억원) 규모 입찰 수주에 성공한 바 있다. PAHO는 중남미 지역의 수두 질환 예방을 목적으로 PAHO 가입국가들로부터 수두백신에 대한 잠정 수요량을 정기적으로 파악한다. 이후 PAHO는 사전 입찰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 및 생산 능력을 지닌 기업을 선정해 수두백신이
셀트리온은 23일 일본류마티스학회(Japan College of Rheumatology 2022, JCR)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Humira, adalimumab)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Yuflyma, CT-P17)’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건강한 일본인 204명을 대상으로 유플라이마 투여군과 아달리무맙 투여군으로 나눠 단일투여 하는 임상 1상을 진행했다. 약물 투여 후 10주 간의 경과를 관찰한 결과, 셀트리온은 두 그룹의 약동학(PK)적 유사성과 약물투여로 인한 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에서
피노바이오는 20일 영국 압타머그룹과 압타머-약물 접합체(Aptamer Drug Conjugate, ApDC) 추가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피노바이오와 압타머그룹은 혈액에서 유래하지 않는 Nectin-4, Tissue Factor, CEACAM5, CD73 등 4개 타깃에 대해 추가연구를 진행한다. 피노바이오는 지난해 압타머그룹과 림프종, 골수종 등 혈액암을 적응증으로 ApDC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계약금 등 상세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양사는 이번 추가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계기로 파트
아피셀테라퓨틱스는 20일 엑셀세라퓨틱스와 유전자도입 줄기세포 치료제 맞춤형 배지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아피셀테라퓨틱스에서 개발중인 유전자세포 치료제개발 플랫폼인 ‘AFX플랫폼’에 적합한 맞춤형 화확조성 배지를 개발한다. 아피셀은 이를 통해 배양효율을 높이고, 안전성이 강화된 배지공급처 확보를 통해 유전자세포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엑셀세라퓨틱스는 맞춤형 화학조성 배지 개발을 통해 독자개발한 첨단바이오산업용 배지 제조 기술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매출증대
디지털케어 솔루션 전문기업인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20일 웨어러블 심전도 패치로 진행한 72시간 심전도 검사의 심방세동(AF) 검출률 임상결과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해당 임상은 최의근 서울대병원 교수팀이 진행했다(doi:10.2196/37970). 논문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심방세동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은 첫 24시간 동안에는 씨어스의 웨어러블 심전도 패치와 기존 홀터 심전도기(Holter
루다큐어(RUDACURE)가 시리즈A로 6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루다큐어는 안구건조증 치료제와 만성통증 치료제를 주력해 개발하는 회사다. 이번 라운드에는 한림제약, 와이앤아처, 씨케이디창업투자 등이 참여했다. 루다큐어는 리드 프로그램으로 항염증 기전의 안구건조증 치료제 후보물질 ’RCI001(8-oxo-2’-deoxyguanosine)‘의 전임상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약효가 빠르게 발현되면서 안압상승 등 부작용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그밖에 통증치료제 후보물질 TRPV1 저해제 ’RCI002‘, 황반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AI 병리분석 솔루션 '루닛 스코프 PD-L1(Lunit SCOPE PD-L1)'을 활용해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가 종양학 분야의 주요 국제학술지인 유럽암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ancer, EJC; IF 9.162)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20일 밝혔다. PD-L1(Programmed death ligand 1)은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로, PD-L1의 발현 정도에 따라 면역항암제의 치료 반응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양내과 전문의(Onc
셀트리온은 20일 '아바스틴(Avastin, bevacizumab)' 개발사인 제넨텍(Genentech)과 글로벌 특허합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에 따라 특허분쟁 없이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CT-P16’을 출시할 수 있게 됐다. 셀트리온은 일부 경쟁사와 달리 전이성 직결장암, 비소세포폐암, 난소암 등을 포함한 주요 적응증 및 요법에 대해 올해 9월부터 글로벌시장에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다만 한국의 경우 타사와 오리지널의약품 개발사 간 특허 무효심판이 진행되고 있어 그에 따른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종근당은 19일 서울 충정로 종근당 본사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CMO) 및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이엔셀과 글로벌 공동연구를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종근당은 이엔셀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고 이엔셀의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노하우 및 생산기술을 활용하여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CAR-T 치료제, AAV(adeno-associated virus) 기반 유전자치료제 등의 바이오의약품을 공동 연구개발하고 생산 프로세스를 가속화한다는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hiPSC) 전문기업인 넥셀은 최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으로부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으로 인증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넥셀은 지놈(Genome) 안정성이 높고 만능성(Pluripotency)을 갖는 hiPSC로부터 심근세포를 포함한 각종 체세포로 분화 및 제품화하는 플렛폼을 보유한 기업이다. ‘소.부.장 전문기업확인 제도’는 ‘소재․부품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2020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해당 분야 기업들을 빠르게 육성하고
셀랩메드는 19일 고형암 타깃 ‘HGF 항체+IL-13Ra2 CAR-T’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미국 유전자치료학회(The American Society of Gene & Cell Therapy, ASGCT)에서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셀랩메드는 난소암 마우스 모델에 HGF 항체 ‘CLM-101(YYB-101)’과 IL-13Rα2 CAR-T ‘CLM-103’을 병용투여한 경우 CLM-103 단독투여군보다 항암효과와 생존기간이 증가한 결과를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CLM-101을 단독 또는 ‘CLM-101+CLM103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는 라스 신호전달(RAS pathway) 타깃 표적항암제 및 면역항암제 이중기전을 갖는 혈뇌장벽(BBB) 투과 SHP2 알로스테릭(allosteric) 저해제 개발 연구 프로그램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카나프테라퓨틱스는 영진약품과 2년 전부터 해당 약물의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선정과제의 주관기관은 카나프테라퓨틱스이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카나프는 향후 1년 6개월간 후보물
트로이와이(Troy Y)는 19일 항 GFRAL(GDNF-family receptor α- like) 항체를 이용한 암악액질(cancer cachexia) 치료제 개발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R&D 생태계 구축연구의 후보물질단계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또 면역엑소좀 기반 신규항암제 개발과제가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사업) 첫걸음에 선정됐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트로이와이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약 1억1000만원을 지급받는다. KDDF 과제의 규모는 약 12억원이다. 트로이와이는 두 과제를 통해
종근당은 19일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국제 말초신경학회(PNS, Peripheral Nerve Society) 연례 학술대회에서 샤르코-마리-투스(Charcot-Marie-Tooth, CMT) 치료제 후보물질 ‘CKD-510’의 유럽 임상 1상과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종근당은 건강한 성인 8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CKD-510의 임상 1상에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약물이 체내에서 일정 기간동안 흡수되고 배출되는지를 확인하는 체내 약물동태 프로파일과 용량증량에 따른 HDAC6 활성 저해에서도 유의미한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투자전문회사 SK와 미국 디지털치료제 기업 칼라헬스(Cala Health)에 공동투자를 했다고 19일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투자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디지털치료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질병을 직접적으로 예방·관리·치료하는 소프트웨어 및 기기다. SK바이오팜은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첨단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칼라는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디지털치료제 내 생체전자 의약품 분야 선도기업으로, 신경·정신 질환 치료에 적용 가능한 웨어러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