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는 11일 제7차 임시회의를 개최해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해 재무제표를 작성·공시한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에 대해 담당임원 해임권고와 감사인 지정조치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감리결과 조치 의결에 따라 셀트리온 등 3사는 상장적격성실질심사(거래정지) 대상이 되는 것을 피했다. 거래소의 상장적격성실질심사는 회계처리기준위반으로 인해 회사 또는 임직원이 검찰에 고발·통보되는 경우에 대상으로 선정된다. 발표에 따르면 증선위는 지난해 11월부터 14차례의 감리위원회 회의를 포함해 총 19차례 임시회의를
제넥신(Genexine)이 코로나19 예방 DNA백신 'GX-19N'의 인도네시아 임상2/3상을 자진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코로나19 백신 인도네시아 식약처로부터 GX-19N의 임상2/3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던 시험이다. 제넥신은 한달뒤인 8월말 GX-19N을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예방백신이 아닌 기존 백신을 맞은 접종자를 대상으로 한 부스터샷으로 임상개발 포로토콜을 변경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제넥신은 공시를 통해 자진철회 결정에 대해 “인도네시아의 1차백신 및 부스터 접종이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을 대표하는 제품 ‘아모잘탄’이 중국 대륙에 진출한다. 중국 고혈압치료제 시장에 들어가는 국내 제약기업의 복합제 제품은 아모잘탄이 최초 사례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한미약품그룹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은 지난달 중국 국가의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아모잘탄 시판허가 승인을 받았으며, 마케팅 전략수립 등 준비를 거쳐 오는 10월 중국 전역에서 판매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승인받은 용량은 고혈압치료 CCB성분인 암로디핀과 ARB성분인 로잘탄을 각각 5/50mg과 5/1
휴온스글로벌은 10일 휴온스글로벌 컨소시엄의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의 위탁생산(CMO) 사업중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휴온스글로벌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정세와 국제 사회 제제에 따라 수출 및 대금 수급 등 사업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으며, 불안정한 국제정세를 고려해 계약효력 유지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해 사업중단을 결정했다. 휴온스글로벌 관계사인 휴메딕스는 약 100억원의 시설투자비용을 투입해 스푸트니크V 백신 충진을 위한 바이알라인 증설을 마친 바 있다. 현재 생산라인은 가동이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가 총 1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결정을 10일 공시했다. 취득예정 주식은 발행주식총수의 약 1%에 이르는 54만3479주로, 장내매수를 통해 자사주를 취득할 예정이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번 자사주 매입을 주주가치 제고, 인재 영입을 위한 스톡옵션 확보 등을 위해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취득한 자사주는 추후 신약 R&D 인재 유치를 위한 스톡옵션 부여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글로벌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올은 최근 미국 자회사 HPI에 안과·신경과학분야 신
한미약품은 10일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GLP-1/GCG/GIP 삼중작용제 LAPSTriple Agonist(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 HM15211)를 원발담즙성담관염(PBC)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으로 추가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희귀의약품 추가지정으로 LAPSTriple Agonist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3건, EMA로부터 2건 등 총 5건의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게 됐다. 원발담즙성담관염, 원발경화성담관염(PSC) 적응증으로 FDA와 EMA로부터 각각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으며 특발성폐섬유증(IPF) 적응
종근당바이오(ChongKunDang Bio)는 10일 인핸스드바이오(EnhancedBio)와 지질나노입자 기술 'EN-LNP'의 핵심소재인 이온화지질에 대한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위탁생산 계약을 맺은 이온화지질은 EN-LNP의 핵심물질로 mRNA, siRNA, CRISPR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범용소재다. EN-LNP는 인핸스드바이오의 지질나노입자 플랫폼 기술로 이혁진 이화여대 교수팀으로부터 라이선스인했다. 이번 계약으로 종근당바이오는 이온화지질을 10년간 독점으로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한다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은 내달 개최되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에서 반감기를 늘린 IL-7(interleukin-7) 약물 ‘NT-I7(efineptakin alfa)’의 새로운 병용요법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네오이뮨텍은 내달 13일(현지시간) AACR에서 2건의 포스터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에 앞서 이번달 8일 AACR 사이트에 초록내용이 공개됐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NT-I7은 종양모델에서 종양침투 CD8+ T세포를 늘리고, PD-1+CD8+ T세포 빈도를 줄이는 작용을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차세대 TROP 항체-약물접합체(ADC)로 개발하는 ‘LCB84’의 전임상 데이터를 글로벌 학회에서 첫 공개한다. 오는 4월 8일부터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2' 개최에 앞서, 이번달 8일(현지시간) AACR 사이트에 초록이 공개되면서 레고켐바이오의 LCB84 발표내용이 게재됐다. 현재 TROP2 ADC로 시판된 유일한 약물은 길리어드의 삼중음성유방암(TNBC) 치료제 ‘트로델비(Trodelvy, sacituzumab govitecan)’이다. 트로델
지놈앤컴퍼니(Genome&Company)는 10일 미국암연구학회(AACR)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초록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지놈앤컴퍼니는 오는 4월 개최되는 AACR에서 총 3건의 연구발표를 진행한다. 지놈앤컴퍼니가 이번에 AACR에서 발표할 주제는 ▲신규타깃 CNTN-4를 억제하는 면역항암 항체 ‘GENA-104A16’의 비임상 연구결과 ▲디바이오팜(Debiopharm)과 공동연구개발 진행중인 ADC 후보물질 ‘GENA-111-AF’의 연구결과 ▲신규 면역항암타깃 ‘GICP-105’ 등이다. CNTN-4는 지놈앤컴퍼니의 신약개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가 폐암 EGFR C797S 변이를 표적하는 2번째 4세대 EGFR TKI 후보물질의 전임상 데이터를 첫 공개한다. 해당 약물은 C797S 변이 EGFR 이중돌연변이 저해제 ‘BBT-207’로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는 오는 4월8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회의에서 BBT-207의 전임상 데이터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포스터 발표 초록은 지난 8일
가상현실(VR)기술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엠투에스(M2S)는 시리즈A로 65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A 투자에는 SK증권, 솔리더스인베트스먼트, 신한캐피탈, 차헬스케어 등이 참여했다. 차헬스케어는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했다. 엠투에스는 이번 투자금을 VR기술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솔루션 플랫폼의 고도화 및 인재확보에 사용할 계획이다. 회사에 따르면 엠투에스는 VR기술 기반의 안질환 진단 의료기기를 개발했다. 엠투에스의 안질환 진단기기는 VR의 시선추적장치(eye tracking sensor
서보광 유빅스테라퓨틱스(Ubix Therapeutics) 대표가 최근 글로벌동향과 관련,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er, TPD)의 새로운 모달리티인 ‘bioPROTAC’이 가진 표적 선택성, 신속한 반응, 돌연변이 단백질이나 불용성 단백질도 타깃 가능한 넓은 적용범위 등의 장점을 RNAi 유전자치료제와 비교해 소개했다. bioPROTAC은 표적단백질 결합부위(target binding moiety), E3 리가아제 결합부위, 이 둘을 이어주는 링커(linker)에 대한 서열을 디자인해 세포 내로 전
국내 최초 바이오파마 전문매체인 바이오스펙테이터(BioSpectator)가 오는 10일부터 바이오업계 이벤트 등록서비스 'BioBB(Bio Bulletin Board)'를 오픈합니다. 학회, 컨퍼런스, 세미나, IR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바이오스펙테이터는 지난 2016년 창간이래 전문가 언론을 지향하며 국내 바이오산업 성장에 기여하는 생태계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바이오업계에 필요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일환의 하나로 2017년에는 바이오 전문인력 채용공고 서비스 ‘Bio
대웅제약과 대웅제약 자회사 아피셀테라퓨틱스는 8일 서울대병원과 재생의료 인프라 구축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임상연구 협력을 위한 MOU를 맺었다고 밝혔다. 이들 3사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외 연구과제 유치를 위한 상호협력 △지식재산 발굴, 보존 및 산업화를 위한 상호협력 △세계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재생의료 인프라 구축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임상연구개발 상호협력 △연구개발, 기술교류 관련 정보제공 및 컨설팅 △연구인력 교육 및 상호교류 등 협력이 필요한 사항에 있어 상호협력할 예정이다. 대웅제약은 서울대병원과의 협력을 계기로 아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셀라이온바이오메드(Cellion BioMed)와 특발성 폐섬유증(IPF) 포함 섬유화 질환 및 기타 다양한 적응증 타깃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 후보물질 관련 선행연구 우선권을 확보하는 옵션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공시했다. 브릿지바이오는 이번 계약으로 이온채널 조절제 ‘BBT-301’을 도입하게 되며, 세포막에 있는 특정 이온채널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해 세포와 조직의 섬유화(firosis)를 저해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브릿지바이오에 따르면 IPF 동물모델에서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이뮤노반트, ‘후속 FcRn’ 적응증 축소..CEO·CFO 퇴임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