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바이젠셀(Vigencell)은 2일 아토피 피부염을 적응증으로 하는 ‘VM-AD’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오는 5월 미국면역학회(AAI)에서 구두 및 포스터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AAI는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오는 5월 6~10일(현지시간) 개최된다. VM-AD는 제대혈 줄기세포유래 골수성억제세포(CBMS) 기반기술인 바이메디어(ViMedier™) 플랫폼을 통해 아토피피부염 적응증으로 개발중인 세포치료제 후보물질이다. 김태규 바이젠셀 대표는 “전세계적으로 1억명 이상의 아토피피부염 환자
유틸렉스가 2일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중국 내 임상진행 및 상업화를 위해 중국 바이오텍 오바이오 테크놀로지(OBiO Technology)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오바이오는 중국 상하이 소재 유전자치료제 제조∙생산 전문회사로, 이번 MOU에 따라 유틸렉스는 오바이오와 협력해 유틸렉스의 NK/T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앱비앤티(EBViNT)’와 CAR-T 치료제의 중국 내 임상 및 상업화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오바이오가 중국 현지에서 바이러스 벡터, 종양용해 바이러스, CAR-T 치료제 연구 및 제조를 진행할 수
유전체 기반 분자진단 전문기업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Seasun Biomaterials)가 코스닥 기술평가 특례상장을 위한 첫 관문인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시선바이오는 한국거래소 지정 기술성 전문평가기관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기업데이터에서 진행된 기술성평가를 통과하였다고 2일 밝혔다. 기술성평가는 기술력, 사업성, 성장성 등 35개 항목을 평가해 기술력이 뛰어난 유망기술기업을 선별하는 제도다. 기술성평가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곳의 전문평가기관에서 진행되며, 평가등급이 각각 A와 BBB 이상일 경우 상장 예비심사 청구가 가능하
펨토바이오메드(Femtobiomed)가 올릭스의 자회사인 mRNA 전문기업 엠큐렉스(mCureX)와 mRNA 기술이 도입된 NK 세포치료제의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업무협력(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양사는 엠큐렉스의 mRNA 기술의 펨토바이오메드의 전달기술로 NK세포 내로 주입해 NK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해 상호협력한다. 협약에 따라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양사의 기술 정보를 교환하고, 상용화 전략을 공동으로 수립하는 등의 기술적 협업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펨토바이오메드는 NK세포 치료제 플랫폼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은 셀트리온(Celltrion)은 바이오시밀러 제품군 확대와 코로나19 변이대응 솔루션을 통한 지속성장 투트랙(twotrack) 전략으로 다음단계로의 도약에 나서고 있다. 셀트리온은 신규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을 통해 오는 2023년까지 바이오시밀러 제품 신규 출시 및 시판지역 확대를 추진한다. 여기에 더해 흡입형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과 진단키트, mRNA 백신 플랫폼 구축 등 코로나19 변이형에 대한 대응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2일 “지난해 사상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했으며, 바이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사노피로부터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ABL301'의 라이선스아웃 및 공동개발 계약에 대한 계약금(upfront)을 수령할 예정이라고 28일 공시했다. ABL301은 혈뇌장벽(BBB) 셔틀분자 IGF-1R를 부착해 뇌 투과성을 높인 알파시누클레인(αSyn) 타깃 이중항체다. 공시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는 미국 반독점개선(Hart-Scott-Rodino Antitrust Improvements Act) 등의 행정절차를 마무리함에 따라 효력이 발효되면서, 계약금 7500만달러(약 906억원)를 수령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8일 창립 10주년을 맞아 임직원의 성과를 격려하고 새롭게 도약하는 10년을 준비하기 위한 창립 기념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은 창립 기념사를 통해 “지난 10년간 임직원 여러분들과 함께 이뤄 온 성과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며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지속성장해 나가자”고 말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2012년 설립된 바이오제약 회사로, 더 많은 환자들에게 바이오의약품을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바이오시
SK바이오사이언스는 28일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와 공동 개발중인 장티푸스 백신 후보물질 ‘NBP618’의 부스터샷(2차 접종) 임상2상 결과가 국제 학술지 npj(nature partner journals) vaccines 온라인 1월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doi: 10.1038/s41541-022-00434-8) 이번에 게재된 임상 결과는 285명의 생후 6~23개월 영유아 대상 NBP618 부스터샷 접종시의 면역효과에 대한 결과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10
디엠바이오(DM Bio)는 다음 달 3월 1일부터 ‘에스티젠바이오(STGEN BIO)’로 사명을 변경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명 변경은 디엠바이오의 사업 다각화, 동아쏘시오홀딩스로 지배구조의 단일화에 따른 것이다. 디엠바이오는 지난 2015년 동아쏘시오홀딩스와 일본 메이지세이카파마의 합작 법인으로 설립된 회사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지난해 10월 신속한 의사결정과 투자를 위해 메이지세이카파마의 지분을 인수하며 지배구조가 단일화됐다. STGEN BIO 의 ‘STGEN’은 ‘Science Technology Gene’의 약자로,
GC녹십자가 2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자사 면역글로불린 제제 ‘ALYGLO(국내 제품명: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 10%)’의 생물의약품허가신청서(BLA)에 대한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 CRL)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CRL은 FDA가 승인을 위해 의약품 허가신청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경우 회사에 보내는 보완요청공문이다. GC녹십자는 지난해 2월 미국 FDA에 면역글로불린 제제 ALYGLO의 BLA를 제출했다. 회사측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현장실사가 불가
큐라클은 지난 24일 당뇨병성신증(Diabetic Nephropathy) 치료제 후보물질 ‘CU01-1001’의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IND)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반려됐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큐라클은 식약처로부터 CU01-1001의 임상시험계획에 대해 2차례의 자료보완 요청을 받아 관련자료를 준비해 제출했으나, 일부항목에 대한 자료미비 사유로 반려처리됐다. 큐라클은 구체적인 반려사유를 확인해 대응계획을 수립중으로, 자료 미비사항을 보완해 빠른시일 내에 재신청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부광약품은 25일 자회사 다이나테라퓨틱스(Dyna Therapeutics)가 개발하는 항암제 후보물질 ‘SOL-804’의 임상1상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SOL-804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임상으로, 후보물질 SOL-804가 어떤 용량에서 기존 전립선암 치료제인 ‘자이티가(Zytiga, abiraterone acetate)’와 동일한 혈중농도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서울대병원에서 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임상은 지난해 12월 환자투약이 시작됐으며 다음달 중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SOL-80
파멥신(Pharmabcine)이 지난 23일 전이성 삼증음성유방암(TNBC) 대상 ’올린베시맙(olinvacimab)‘ 병용투여 임상1b상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파멥신은 임상결과보고서(CSR)는 오는 3분기 발표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임상1b상 결과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병용투여 임상1b상은 2019년 1월부터 시작돼 이달까지 진행됐다(NCT03720431). 파멥신이 지난 2020년 12월 샌안토니오 유방암학회(SABCS)에서 발표한 임상1b상 중간결과에 따르면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11명 대상으로 올린베시맙 1
중추신경계(CNS) 신약 개발기업 바이오팜솔루션즈(Bio-Pharm Solutions)는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치료제 후보물질 ‘JBPOS501’의 국내 임상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바이오팜솔루션즈는 이번 임상 1상을 통해 후보물질 JBPOS501의 신경병증성 통증질환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회사에 따르면 후보물질 JBPOS501의 전임상단계 랫(rat) 실험에서 광범위한 통증감소 효과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 회사는 지난해 미국 식품
벡톤디킨슨 코리아(BD Korea)는 25일 ‘BD FACSLyric™ 유세포 분석시스템’이 국내에 런칭한지 채 4년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 100번째 설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유세포분석은 유액상태의 단일세포나 입자 등의 특성을 신속하게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 기초연구부터 임상시험까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BD코리아는 다양한 유세포분석기를 통해 기업들에게 각 개발단계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BD FACSLyric™ 유세포 분석시스템은 최대 3가지 색상(red, blue, violet)의 레이저와 12개 형광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cenobamate)’의 국내 소아뇌전증 임상3상을 승인받았다. 세노바메이트는 미국과 유럽에서 시판허가를 받은 성인 부분발작 뇌전증 치료제다. 미국은 미국법인인 SK라이프사이언스가 ‘엑스코프리(Xcopri)’, 유럽은 파트너사인 안젤리니파마가 ‘온투즈리(Ontozry)’라는 제품명으로 판매하고 있다. 25일 식약처의 임상시험정보 검색 사이트 의약품안전나라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은 부분발작(국소)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세노바메이트(YKP3089)의 유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이뮤노반트, ‘후속 FcRn’ 적응증 축소..CEO·CFO 퇴임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