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전문 바이오텍 피노바이오(Pinotbio)는 8일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린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4)에서 ADC 플랫폼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피노바이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AACR에 참가하며 자체 개발한 TOP1(topoisomerase I) 저해제 페이로드 ‘PBX-7 시리즈’의 추가 데이터와, 신규 링커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피노바이오의 PBX-7 시리즈는 다양한 전임상 모델에서 HER2 ADC인 ‘엔허투(Enhertu, T-Dxd)’ 대비 높은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 활용시 유방암 조기진단 가능성을 높이고,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유럽 영상의학 학술지 ‘European Radiology’에 게재됐다고 8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이번 연구를 주도한 튀르키예 아치바뎀 메흐메트 알리 아이딘라대(Acibadem Mehmet Ali Aydinlar University)의 무스타파 에게 세커(Mustafa Ege Seker) 박사 영상의학과 연구팀은 지난 2009년
체외 암 분자진단 전문기업 지노믹트리(Genomictree)는 5일 개발한 폐암 조기진단 체외진단법 임상결과가 국제학술지인 ‘온콜로지 레터(Oncology Letters)’ 4월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폐암 체외 조기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메틸화(methylation) 바이오마커인 ‘PRRX1 메틸화’를 발굴하고, 환자 샘플을 대상으로 회사가 기존에 발굴했던 ‘PCDHGA12 메틸화’ 마커와 함께 사용했을 때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켰다는 내용이다. 논문에 따르면 지노믹트리는 회사의 암 바이오마커 발굴엔진인 ‘메틸 DNA 캡처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5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절차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씨어스테크놀로지의 공모주식수는 130만주로 공모 예정가는 주당 1만500~1만4000원이다. 이에 따른 총 공모금액은 137억~182억원이다. 씨어스테크놀로지는 이달 24일부터 30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5월 7일부터 8일까지 일반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5월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씨어스테크놀로지는 웨어러블 의료기
셀트리온(Celltiron)은 미국 최대 규모의 염증성장질환(IBD) 환우회인 '크론병 및 대장염 재단'(Crohn's & Colitis Foundation, CCF)과 파트너십 활동을 진행하며 IBD 인지도 제고와 인식개선에 나섰다고 5일 밝혔다. CCF는 크론병(CD), 궤양성 대장염(UC) 환자와 그 가족들로 구성된 비영리 재단으로 미국내 IBD 관련 환우 단체로는 가장 큰 규모로 알려져 있다. CCF는 1967년 설립 이후 50년이상 미국 IBD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주요
랩지노믹스(Labgenomics)는 5일 카카오헬스케어(Kakao Healthcare)와 산부인과 진단사업 분야에서 협력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랩지노믹스는 카카오헬스케어의 ‘파스타 플랫폼’ 서비스와 함께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산부인과에 공급한다. 기존 랩지노믹스의 산부인과 제품군 ‘맘가드’, ‘앙팡가드’ 등과 연계해 환자와 산부인과에 제공할 계획이다. 연속혈당측정기 데이터는 카카오헬스케어의 파스타 플랫폼에 연동돼 사용자가 편리하게 혈당을 관리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두 회사는 연속혈당측정기(CGM)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5일 11번째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바이오시밀러 ‘SB27’의 글로벌 임상3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임상시험 정보 사이트 clinicaltrials.gov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4개 국가에서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616명을 모집해, SB27과 오리지널 의약품의 유효성, 안전성, 약동학(pharmacokinetics) 등을 비교하는 임상3상(NCT06348199)을 진행한다. SB27의 오리지널 의약품 키트루다는 미
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Hanmi Science)는 4일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주주총회 이후 첫 이사회를 열고 임종훈 사내이사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 기존 송영숙 대표이사(한미그룹 회장)와의 공동 대표이사 체제를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가족간 협력과 화합을 토대로 새로운 한미를 경영하기로 통 큰 합의를 이룬 것이다. 이사회는 이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기주식 156만여주를 소각하기로 의결했다. 이사회는 또 한미약품 지분을 40%대 보유한 한미사이언스의 주주제안 형식을 통해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
바이오 컨쥬게이션(conjugation) 플랫폼 기반 신약개발 기업 프로앱텍(ProAbTech)이 3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프로앱텍의 시리즈A 라운드에 참여한 한화투자증권이 10억원을 추가 투자했으며, 한국비엔씨(BNC Korea)로부터 20억원의 전략적 투자(SI)를 받아, 총 30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프로앱텍은 지난 2020년 시리즈A로 한화투자증권, 위드윈인베스트먼트,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로부터 50억원을 투자 받았으며, 지난 2021년 브릿지 라운드를 통해 하나투자증권, HYK 파트
프로티움사이언스(Protium Science)는 4일 HK이노엔(HK inno.N)으로부터 총 2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SI)를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프로티움은 이번 SI 투자로 HK이노엔과 CDAO(위탁개발 및 분석) 및 CDMO(위탁개발 및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계약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프로티움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 및 분석(Contract Development and Analysis Organization, CDAO) 전문 기업으로, 코스닥 상장 신약개발사 티움바이오의 자회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4일 한국 특허청으로부터 Wnt 표적 탈모치료제 ‘JW0061’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Wnt 신호전달경로 기반의 탈모치료제 신약후보물질에 관한 것으로 ‘JW0061의 신규한 헤테로 사이클 유도체, 이의 염 또는 이성질체 그리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로써 JW중외제약은 지난해 3월 러시아를 시작으로 호주, 일본,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한국 등 총 7개국에서 JW0061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현재 미국과 유럽
크리스탈생명과학은 4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법인명을 휴온스생명과학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휴온스생명과학은 휴온스의 종속회사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고 의약품위탁생산(CMO)등으로 사업 확대를 통해 성장속도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휴온스는 지난해말 크리스탈생명과학의 지분인수를 통해 자회사로 편입했다. 휴온스는 휴온스생명과학을 통해 고형제 등 신규제품 생산능력(CAPA)을 확보해 제조 효율화에 나설 계획이다. 민병복 휴온스생명과학 대표는 “사명변경을 통해 기업의 비전과 방향성, 체제 등을 새롭게 재정비하고 사업구조의 개편을 통해 가시적인
On April 3, Gencurix is poised to unveil the outcomes of two clinical studies on colorectal cancer at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Scheduled from May 31 to June 4, 2024, in Chicago, USA, the ASCO annual meeting is one of the world’s leading cancer conference, alo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는 오는 5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4)에서 KRAS 변이 고형암을 타깃하는 항암제 2건의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를 통해 업데이트한다고 3일 밝혔다. 카나프는 지난해 AACR에서 이어, 이번 학회에서 KRAS 변이 고형암 환자에게서 보이는 뇌전이까지 타깃하기 위해 혈뇌장벽(BBB) 투과성을 가진 SHP2 저해제 ‘KT-01766’의 병용투여 및 뇌전이 모델에서의 효능을 업데이트한다. 또한 카나프는 사이러스테라퓨틱스(Cyrus Thera
젠큐릭스(Gencurix)는 3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액체생검 기반 대장암진단 임상 연구결과 2건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ASCO 2024는 오는 5월31일부터 6월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학회로 전세계 암 관련 제약업체와 진단회사들이 최신 임상결과를 발표하는 자리다. 젠큐릭스는 대장암 조기진단 ‘콜로이디엑스(COLO eDX)’의 대장암 미세잔존질환(minimal residual disease, MRD)에 대한 임상적 효능평가와 대장암 관련 유전자 변이(KRAS, NRAS, BRAF)를 동반진단하는 ‘드
체외 암 분자진단 전문기업 지노믹트리(Genomictree)는 미국 자회사 프로미스 다이아그노스틱스(Promis Diagnostics)가 미국 의학협회(AMA)로부터 소변 기반 방광암 검출 검사법 ‘얼리텍-BCD’에 대한 ‘CPT-PLA’ 코드를 취득했다고 3일 밝혔다. 미국에서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해당 검사에 대한 적절한 CPT 및 PLA 코드를 사용해 청구해야 한다. CPT 코드는 수술 및 의료 절차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PLA 코드는 병리학 및 검사 절차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번에 지노믹트리가 취득한 CPT-P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프로젠, 220억 투자유치.."유한·JW중외 30억씩 참여"
BMS, 빅 베팅 ‘미오신 저해제’ 후속 적응증 3상 “실패”
'매출 TOP10' 글로벌 빅파마, 작년 순위 변화는?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글리코마인, 시리즈C 1.15억弗..희귀질환 ’LNP 대체요법’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급여 3주년 “치료기회 확대”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파노로스, 최민수 상무 영입..前넷타겟 대표
유한의학상 대상에 박완범 서울의대 부교수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유바이오로직스, 'mRNA 백신개발' 질병청 과제선정
젠큐릭스, '유방암 예후진단' 경쟁제품 비교 "논문 게재"
펩트론, ‘CNP 유사체’ 연골무형성증 1상 “자진취하”
대웅제약, 당뇨약 '엔블로' 중남미·러시아 7개국 허가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