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올해 모달리티(modality) 확장을 위한 키워드로 항체-약물접합체(ADC)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제반설비를 마련한다. 또한 세포·유전자치료제(CGT)로의 확장도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앞서 삼성바이로직스가 지난 2022년 mRNA와 이중항체(BsAb) 포토폴리오를 확대한 것에 이은 움직임이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사장)는 9일(현지시간) JPM 2024 헬스케어컨퍼런스에서 “새로운 기술에 투자하고 있으며, 올해말까지 ADC 생산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며 상업화와 임상시험을
EGFR 폐암 영역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가 정말 쉽지 않은 것인가? 블루프린트 메디슨(Blueprint Medicines)이 남아있던 4세대 EGFR TKI ‘BLU-945’의 임상개발까지 완전히 포기하고 말았다. 블루프린트는 블록버스터 EGFR TKI ‘타그리소’에 불응하는 C797S 변이에 대한 4세대 EGFR TKI를 개발해온 선두그룹이었으며, EGFR C797S 변이를 포함한 삼중저해제 BLU-945로 2021년 중반 임상을 시작했다. 지난해부터 차질은 시작됐다. 블루프린트는 지난해 중반 이미 EGFR C797S 변이
노바티스(Novartis)가 계약금 2억5000만달러에 네덜란드의 칼립소 바이오텍(Calypso Biotech)을 인수했다. JPM 헬스케어컨퍼런스(JPM 2024)가 열린 첫날 아침에 이뤄진 딜이다. 칼립소는 지난 2013년 독일 머크(Merck KGaA)로부터 분사한 바이오텍으로, 자가면역질환을 타깃하는 IL-15 항체를 초기 임상에서 개발하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노바티스는 셀리악병(celiac disease) 임상1b상 단계에 있는 IL-15 항체 ‘CALY-002’를 확보하게 됐다. 현재 노바티스 외에도 사노피(San
미국 머크(MSD)가 하푼 테라퓨틱스(Harpoon Therapeutics)를 6억8000만달러에 인수했다. 머크는 이를 통해 DLL3 타깃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 TCE) 에셋을 확보했는데, DLL3는 소세포폐암(SLCL)과 신경내분비 종양 등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종양타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딜도 소세포폐암에 대한 머크의 전략적 접근의 일환으로 읽힌다. 이에 앞서 지난해 10월 머크는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로부터 Dxd 페이로드 기반 ‘HER3 ADC’, ‘B7-H3 ADC’, ‘C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J&J)이 아예 항체-약물접합체(ADC) 회사를 인수해버렸다. 새해 ‘빅파마의 M&A 파티’가 시작되는 JPM 헬스케어컨퍼런스 첫날인, 8일(현지시간) J&J는 앰브릭스 바이오파마(Ambrx Biopharma)를 총 20억달러 규모에 인수키로 최종합의했다고 밝혔다. 인수가격은 주당 28달러로 책정했으며, 이는 바로 직전 금요일 종가대비 105% 프리미엄을 얹은 가격이다. 거래는 올해 상반기 마무리될 예정이다. J&J는 지난 1~2년간 공격적인 움직임을 이어온 다른 빅파마에 비해 그동안
정창범 지투이(G2e) 대표는 “인슐린 투여가 필요한 중증 당뇨병 환자의 혈당관리에 필요한 기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혈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종합 당뇨병 관리 플랫폼을 가진 유일한 회사”라며 “올해내 코스닥 시장 상장절차를 진행해 2025년 기업공개(IPO)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4일 경기도 여주썬밸리호텔에서 열린 데일리파트너스 주최 ‘2024년 애널리스트 초청 유망 바이오기업 IR 컨퍼런스’에서 연구개발 중인 종합 당뇨병관리 플랫폼 ‘디아콘(DIA:CONN)’과 향후 계획
GLP-1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의 주요 부작용 중 하나로 지목됐던 자살충동(suicidal ideations)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리얼월드데이터를 바탕으로 세마글루타이드가 오히려 기존 비만,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던 비GLP-1 작용제(non-GLP-1 agonist)보다 73%까지 낮은 자살충동 위험성을 보였다는 논문을 내놨다. 세마글루타이드는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비만치료제 '위고비(Wegovy)'와 제2형당뇨병 치료제 '
동종유래(allogeneic) CAR-T를 개발해온 바이오텍들이 실패를 거듭한 끝에 이제는 현실을 인정하고, 기존에 시판된 CAR-T 치료제와는 다른 곳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막다른 골목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새해부터 동종유래 CAR-T 회사의 잇따른 구조조정 소식이다. 동종유래 CAR-T는 맞춤형 제조과정 없이 바로 투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혈액암 임상에서 계속해서 기존 자가유래 CAR-T 대비 약물 지속성(durability) 부족으로 인한 재발이 문제가 돼 왔다. 이 와중에 자가유래 CAR-T 제품은 림프종 2
로슈(Roche)가 새해 첫주에 또다시 항암제 개발을 위한 딜을 체결했다. 새해 첫주에만 하루 간격으로 3건의 딜을 연달아 체결한 것이다. 로슈는 이번엔 모마 테라퓨틱스(MOMA Therapeutics)에 계약금 6600만달러를 지급하며, 신규(novel) 항암제 타깃에 대한 약물 발굴 파트너십 딜을 맺었다. 모마는 2년전 골드만삭스(Goldman Sachs)가 리드한 시리즈B에서 1억5000만달러를 유치한 회사로도 알려져 있다. 이번 딜을 통해 로슈는 다이나믹(dynamic)한 단백질을 표적하는 모마의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게 된
구글(Google)의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자회사인 아이소모픽 랩스(Isomorphic Labs)가 일라이릴리(Eli Lilly)와 17억4500만달러 규모의 신약발굴 파트너십 딜을 체결했다. 2년여전 회사가 설립된 이후 신약개발을 위한 첫 파트너십이 성사된 것이다. 또한 아이소모픽은 릴리와 별개로, 같은날 또다른 빅파마인 노바티스(Novartis)와도 12억3750만달러 규모의 AI 신약발굴 딜을 맺었다. 아이소모픽은 지난 2021년 11월 구글의 지주회사인 알파벳(Alphabet)이 설립했다. 알파벳의 단백질 접힘구조
지난 2023년 자금유동성 경색이 가중되면서 많은 빅파마와 바이오텍이 인력감축을 비롯한 구조조정, 심지어 폐업 수순을 밟았던 혹독했던 업계 분위기와 반대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신약건수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FDA 홈페이지에 게재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의약품 평가연구센터(CDER)가 허가한 신약(new molecular entities, NMEs)은 55건, 백신, 유전자·세포치료제, 혈액제제 등의 허가를 담당하는 바이오의약품평가연구센터(CBER)가 승인한 신약은 22건으로 총 77건이다. 지난 2018년부
올해를 기점으로 아밀로이드베타(Aβ) 계열 약물을 주축으로, 진정한 의미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시장이 열릴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지난해 6월 에자이-바이오젠의 ‘레카네맙(lecanemab, 제품명 레켐비)’이 미국에서 정식 시판허가를 받으면서, 그동안 아밀로이드 약물 상업화에 가장 큰 허들이었던 보험적용이 결정됐다. 이어 10월 레카네맙을 처방하기 위한 아밀로이드 PET 진단법까지 보험적용 범위가 확대됐다. 에자이는 레켐비의 피하투여(SC) 제형의 허가신청도 준비하고 있는 단계다. 여기에 올해 1분기 일라이릴리의 ‘도나네맙(do
후성유전학적 접근법을 통해 정밀신약을 개발하는 문워크 바이오사이언스(Moonwalk Biosciences)가 시리즈A로 5700만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문워크는 CRISPR 선구자로 잘 알려진 펑 장(Feng Zhang) MIT 교수와 알렉스 아라바니스(Alex Aravanis) 전(前) 일루미나 CTO가 공동창업자(co-founder)로 설립했다. 여기에 더해 이번 시리즈A로 아치벤처스, 구글 등 유명 벤처들이 시리즈에 참여해 업계의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문워크는 지난 4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5700만달러를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이 설립한 기업인 오메가테라퓨틱스(Omega Therapeutics), 셀라리티(Cellarity)와 각각 5억3200만달러 규모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딜을 맺었다. 이번 딜은 노보노디스크와 플래그십이 지난해 혁신의약품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한 전략적협업 계약을 맺은 후 나온 첫 파트너십이다. 당시 노보노디스크와 플래그십의 신약개발 이니셔티브(Initiative) 파이오니어링 메디슨즈(Pioneering Medicines)는 심장대사(c
로슈(Roche)가 리믹스 테라퓨틱스(Remix Therapeutics)와 RNA 프로세싱을 조절하는 신규 저분자화합물 발굴, 개발을 위해 10억4200만달러 규모의 딜을 맺었다. 로슈는 지난 2021년 셰이프 테라퓨틱스(Shape Therapeutics)와 알츠하이머병(AD), 파킨슨병(PD) 등에 대한 RNA 편집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해 30억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맺는 등 RNA 조절 약물에 관심을 보여왔다. 특히 이번 딜은 선양낭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ACC)과 급성 골수성백혈병(AML
지난 2023년은 국내 비상장 바이오기업이 투자자의 관심 밖으로 완전히 밀려나며 투자가 ‘일시멈춤’ 상태를 보였다. 전년에 이어 글로벌 금리인상에 따른 투자위축 등의 대외적 요인이 한층 더해지면서 투자가 완전히 얼어붙었다. 5일 바이오스펙테이터 자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1곳의 비상장 바이오기업이 4162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며 유치한 공모자금은 제외한 금액이다. 비상장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규모는 지난 2019년 1조1236억원, 2020년 9998억7000만원, 2021년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프로젠, 220억 투자유치.."유한·JW중외 30억씩 참여"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BMS, 빅 베팅 ‘미오신 저해제’ 후속 적응증 3상 “실패”
글리코마인, 시리즈C 1.15억弗..희귀질환 ’LNP 대체요법’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급여 3주년 “치료기회 확대”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파노로스, 최민수 상무 영입..前넷타겟 대표
유한의학상 대상에 박완범 서울의대 부교수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유바이오로직스, 'mRNA 백신개발' 질병청 과제선정
젠큐릭스, '유방암 예후진단' 경쟁제품 비교 "논문 게재"
펩트론, ‘CNP 유사체’ 연골무형성증 1상 “자진취하”
대웅제약, 당뇨약 '엔블로' 중남미·러시아 7개국 허가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