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지노믹스(Rznomics)가 초기 임상개발 단계에 있는 RNA 치환효소(trans-splicing ribozyme) 기반 항암제에 이은 후속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알지노믹스는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개최된 미국 유전자세포치료학회(ASGCT 2023)에서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RP) 치료제로 개발하는 RNA 치환효소(trans-splicing ribozyme) 기반 'RZ-004'가 변이와 무관하게(mutation-independent) RNA를 편집하는 효과를 확인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구두 발표했다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지난 22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실적보고에서 차세대 FcRn 항체로 개발하는 ‘IMVT-1402(HL161ANS)’의 임상1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17년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뮤노반트 모회사 로이반트 사이언스(Roivant Sciences)에 ‘바토클리맙(batoclimab, IMVT-1401; HL161)’과 IMVT-1402를 라이선스아웃한 바 있다. 이뮤노반트는 여러 자가면역질환에서 바토클리맙과 IMVT-1402을
mRNA가 감염증, 암백신 영역을 넘어 이제 희귀질환으로도 뻗어가고 있다. 모더나(Moderna)가 이번엔 mRNA 기반 단백질 대체요법(replacement therapy)을 통해 희귀 대사질환 환자의 증상을 개선시킨 초기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임상에서 모더나의 mRNA 치료제는 프로피온산혈증(propionic acidemia, PA) 환자의 대사이상 증상인 대사성 대상부전(MDE) 발생비율을 66%, 2주 1회 고용량 투여군에서는 78%까지 감소시켰다. 기존 대체요법은 환자 체내의 비정상적인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미국에서 경쟁사 대비 ‘가격을 크게 낮춘’ 전략의 신약개발 모델은 결국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립초기 중국에서 ‘미투(me-too)’ 신약을 저렴하게 도입해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보다 낮은 40~50% 수준의 가격으로 출시하겠다는 EQRx의 야심찼던 목표는 완전히 마침표를 찍고 말았다. EQRx는 알렉시스 보리시(Alexis Borisy)가 2020년 공동설립한지 1년만에 시리즈A·B로 7억달러를 포함해 총 19억달러의 투자금을 모았던 회사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EQRx의 정체성은 급격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EQRx는
희귀 피부질환의 환부에 바르는 겔타입의 유전자치료제가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허가를 받았다. 미국 크리스탈 바이오텍(Krystal Biotech)이 개발한 ‘비주벡(Vyjuvek, beremagene geperpavec-svdt)’으로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dystrophic epidermolysis bullosa, DEB)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비주벡은 미국 FDA의 허가를 받은 첫 DEB 치료제이자 첫 국소제형(topical) 유전자치료제라는 타이틀을 갖게 됐다.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DEB)은 유전
제노스코(Genosco)는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 흉부학회(ATS 2023)에서 특발성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로 개발하는 ROCK 저해제 ‘GNS-3595’이 동물모델에서 항섬유 효능을 가진다는 연구결과에 대한 포스터발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노스코는 선택적 ROCK(rho-associated protein kinase) 저해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 ROCK 저해제의 한계인 비특이적인 억제효과(off-target effect)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
인터셉트 파마슈티컬(Intercept Pharmaceuticals)의 ‘OCA(obeticholic acid)’가 또다시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허가 과정에서 난항에 빠졌다. NASH 적응증에 대한 OCA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 여부를 두고 열린 FDA 자문위원회 회의 결과 총 16명중 15명이 부정적인 의견을 내며, 인터셉트가 진행중인 임상3상의 전체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고 의견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OCA의 위험이익(benefit-risk) 평가에서, OCA의 이점이
바이오의약품 개발기업 알테오젠(Alteogen)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PH20의 변이체(variant)인 ‘ALT-B4’와 각 항체의약품의 혼합제형에 대한 일본특허에 대한 결정을 통지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주요 국가로는 첫 특허등록이며, 전체 국가로는 3번째 등록이다. 향후 추가적인 진행과정을 거쳐 특허를 등록하게 된다. 알테오젠이 지난해 10월 밝힌 ALT-B4와 ‘펨프롤리주맙(pembrolizumab, 제품명 키트루다)’의 혼합제형 특허등록과는 별개의 건이다. 이번 특허는 알테오젠이 지적재산권 보호
애브비(Abbvie)와 젠맙(Genmab)이 공동개발한 CD20xCD3 이중항체 ‘엡킨리(Epkinly, epcoritamab)’가 재발성, 불응성(r/r)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LBCL)의 3차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받았다. 앞서 지난해 12월 로슈(Roche)의 CD20XCD3 이중항체 ‘룬수미오(Lunsumio)’가 재발성, 불응성 여포성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 3차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으며 시판허가를 받은 최초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는 19일 안구건조증 치료제 후보물질 ‘HL036’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미국 임상3상(임상명 VELOS-3)의 탑라인 결과를 공시했다. 앞서 진행한 HL036의 안구건조증 임상3상(VELOS-2)에 이어 2번째로 진행한 임상3상이다. HL036(성분명 탄파너셉트)은 안구내 염증을 유발하는 종양괴사인자(TNF)를 억제해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기전의 약물이며, 한올바이오파마와 대웅제약이 공동개발하고 있다. 이번 임상은 미국 중증 안구건조증 환자 260명을 탄파너셉트 점안액과 위약 투여군(v
원진바이오테크놀로지(Onegene Biotechnology)가 단백질 접합(conjugation) 플랫폼 '유니스택(UniStac®)'과 사중표적 NASH 후보물질 ‘OGB21502’의 초기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해당 사중표적 약물은 FGF21, 글루카곤(Glucagon, GCG), GLP-1, IL-1RA 등을 표적하는 것이 차별성이다. 박성진 원진바이오 대표는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개최된 2023 만성염증심포지엄(Chronic Inflammation Symposium 2023)에서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자회사인 프리베일(Prevail Therapeutics)이 스크라이브 테라퓨틱스(Scribe Therapeutics)와 신경 및 신경근육(neuromuscular) 질환에 대한 인비보(in vivo) CRISPR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15억75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프리베일은 스크라이브의 CRISPR 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해 신경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특정 타깃(specific target)에 대한 약물을 개발할 계획이다. 스크라이브는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로슈(Roche)가 비공유결합(non-covalent) 방식의 BTK 저해제인 ‘페네브루티닙(fenebrutinib)’의 다발성경화증(MS) 임상2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확인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최근 사노피(Sanofi), 독일 머크(Merck KGaA), 바이오젠(Biogen) 등이 공유결합 BTK 저해제로 진행한 MS 임상에서 간손상(drug-induced liver injury)과 관련된 부작용 이슈가 확인되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의 '부분중단(partial hold)' 조치가
아스트라제네카(AZ)가 폐암 블록버스터 ‘타그리소(오시머티닙)’의 시장을 그냥 쉽사리 내줄리 없다. J&J가 올해말 타그리소 시장을 빼앗아오기 위해 EGFR 변이 폐암 1차치료제 대상 ‘레이저티닙’과 ‘아미반타맙(amivantamab)’ 병용투여와 타그리소를 비교하는 MARIPOSA 임상3상 결과를 공개할 것으로 예고되는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가 먼저 J&J를 견제하기 위한 카드를 꺼내 들었다. 레이저티닙은 유한양행이 5년전 J&J에 라이선스아웃한 3세대 EGFR TKI이며, 아미반타맙은 EGFRxMET 이중항체이다. 아스트라제네
니도바이오사이언스(Nido Bioscience)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시드투자와 시리즈A, B로 총 1억9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시리즈B 투자를 마무리하면서 그동안 투자받은 총 규모에 대한 소식을 처음으로 알렸다. 니도바이오는 지난 2018년 미국 보스톤에 설립된 바이오텍이다. 5AM 벤처스(5AM Ventures)의 4:59 이니셔티브(4:59 Initiative)가 시드투자에 참여했고, 지난 2020년 시리즈A에는 베세머 벤처파트너스(Bessemer Venture Partners), 오세이지 유니버시티파트
에스씨바이오(SCBIO)가 시리즈A로 11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6월 pre-A 단계로 60억원을 유치한 것에 이어 누적투자금액은 총 170억원이다. 이번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사인 마그나인베스트먼트, L&S벤처캐피탈, 한국과학기술지주(KST)가 후속 투자기관으로 참여했으며, TS인베스트먼트, LSK인베스트먼트, 대성창업투자, 에이치지이니셔티브, 에이벤처스, 중소기업은행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에스씨바이오는 이번 투자금을 리드 프로젝트인 SCB002와 SCB001 전임상과 임상시험계획(IN
머크 “마침내 손에” ‘키트루다 SC' vs IV 3상 “성공”
오름, 'GSPT1 DAC' 1상 "SAE 발생..환자모집 중단"
프로젠, 유한양행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노바티스도 “합류”, ‘in vivo’ CAR-T 비리어드와 딜
“노벨상 화학자 창업” 밸로라, 시드 3천만弗..‘新면역관문’
Vetter파마, 매니징 디렉터에 3명 선임 "경영진 확대"
GC녹십자, 카나프와 '이중항체 ADC' 옵션딜+공동개발
앨라일람 "지독한 승부", 3rd 'TTR RNAi' 1상 "추가 개선"
‘DAC 잇단 딜’ 오름테라퓨틱, 앞으로 “3가지 과제는?”
유바이오, '新플랫폼 PoC 기반' 프리미엄백신 "본격화"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105만주 블록딜 매각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동아제약,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
SK바이오팜, '제프리스 헬스케어 컨퍼런스' 발표
GC셀, ‘CD19 CAR-NK’ 비임상 “KDDF 과제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