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enScript ProBio, a global CDMO, and GeneCraft, a global research team led by Professor Suk Chul Bae of lung cancer mechanism research, announced that they had entered into a strategic partnership MOU concerning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a new drugs needed for ‘RX001’. GenScript ProBio and
셀트리온(Celltrion)은 18일 국내 피노바이오와 항체-약물 접합체(ADC) 링커-페이로드 플랫폼기술실시 옵션도입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피노바이오에 10억원의 계약금을 지급하고 최대 15개의 타깃에 대해피노바이오의 ADC 링커-페이로드 플랫폼 PINOT-ADC™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셀트리온은 총 15개의 타깃 옵션권에 대해 1개의 옵션행사마다 1개의 타깃에 해당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옵션을 행사할 경우 옵션금와 함께 임상, 허가,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및 로열티를 단계별로 피
진크래프트(GeneCraft)는 17일 글로벌 CDMO 기업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GenScript ProBio)와 폐암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RX001’의 임상시험계획(IND)에 필요한 개발-생산 연계를 위한 전략적 협력에 대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진크래프트와 진스크립트는 지난 8월 전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인 신약후보물질 RX001의 임상 1상을 위한 약물제작과 향후 개발할 다양한 유전자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진크래프트는 폐암 발병 기원과 관련된 항암 기전을 30년
이투데이는 오는 26일 오후 2시30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안보 관점에서 바라본 K-제약바이오 육성 전략’을 주제로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2’ 행사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K-제약바이오 육성 전략을 모색하는 포럼이라고 이투데이측은 설명했다. 이번 포럼에는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전문가들이 참여해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계와 정부간 협력방안, 투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규제개선, 향후 유망한 K-제약바이오 투자분야 및 투자전략
JW중외제약은 17일 국내 최초로 투약시간을 단축한 200㎖대 종합영양수액(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에 출시한 제품은 ‘위너프페리주’ 217㎖와 241㎖으로 말초정맥용 종합영양수액이다. 위너프페리주 217㎖는 비급여 TPN으로 기존 소용량 TPN(362㎖)보다 투약시간이 50분가량 짧다. 체중 60㎏ 환자 기준으로 최대 속도로 주입 시 1시간대(72분)에 투여가 가능하다. 성분은 오메가-3 지방산을 비롯한 지질 4종, 아미노산, 포도당으로 구성해 균형 잡힌
메디포스트는 17일 신규 증설한 GMP생산시설 내 CDMO 전용 10개의 클린룸 및 생산시설 등을 통해 국내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메디포스트는 첨단바이오의약품과 관련된 △제품개발 서비스 △각종 세포생산 서비스 △첨단바이오의약품 원료생산 서비스 △생산과 연관된 품질분석 서비스 △생산된 제품(세포) 보관 서비스 등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신약개발 과정에 대해 원스톱 토탈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메디포스트는 지난 5월 인수한 캐나다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전문기업인 옴니아바이오와의 시너지를
뉴로토브(NeuroTobe)가 파킨슨병(PD), 본태성떨림 등 다양한 신경질환의 공통원인(common target)을 타깃해 치료하는 접근법의 ASO(antisense oligonucleotide) 약물 개발에 나섰다. 김대수 카이스트 교수이자 뉴로토브 CEO는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2022 KIC(KoNEC-MOHW-MFDS International Conference)에서 “노화, 우울증,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질환에 T-Type2 칼슘 채널인 CaV3.1가 관여한다”며 “Ca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Lunit INSIGHT CXR)'을 다양한 의료환경에 적용한 결과, 경력 20년 이상의 영상의학과 전문의 수준의 판독 정확도를 나타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영국 에든버러대 의학연구소(QMRI)와 에든버러왕립의무실과 공동 진행했으며, 해당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영상의학대학(RCR)이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Clinical Radiology(2021 IF=3.389)'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진은 폐렴, 폐섬유화, 기흉
이피디 바이오테라퓨틱스(EPD Biotherapeutics)가 글로벌 학회에서 새로운 컨셉의 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플랫폼인 ‘EPDeg™(Engineered Protein Degrader)’ 기술을 공개한다. EPDeg™는 융합단백질(fusion protein) 기반의 bioPROTAC 기술이며, 세포내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를 타깃한다. BioPROTAC 기술은 저분자화합물로는 결합이 어려운(undruggable) 표적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펩
소바젠(SoVarGen)이 BRAF 돌연변이로 인한 신경교종(glioma)에서 나타나는 난치성 뇌전증(intractable epilepsy)의 발작빈도와 비정상적인 신경세포 크기를 ASO(antisenseoligonucletide) 약물을 투여해 개선한 전임상 결과를 내놨다. 소바젠은 뇌세포의 후천적 유전자 돌연변이(somatic mutation)로 발병하는 난치성 뇌질환에 대한 치료제와 이를 이용한 진단법을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텍으로, 지난 2018년 이정호 카이스트 석좌교수가 설립했다. 이정호 카이스트 교수이자 소바젠 CSO는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지니너스(Geninus)가 클리아랩(CLIA Lab) 기반 암 유전체 분석 솔루션의 미국 진단서비스 시장진출을 위해 랩지노믹스(LabGenius)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MOU는 지니너스 본사에서 박웅양 지니너스 대표이사, 신재훈 랩지노믹스 이사 등 양사의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체결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클리아랩을 통해 암 유전체 분석 분야의 실험실 개발 테스트(Laboratory Development Test, LDT)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클리아랩은
유한양행(Yuhan)이 3세대 EGFR TKI ‘레이저티닙(lazertinib, 제품명: 렉라자)’의 폐암 1차 치료제 임상3상에서 1차 종결점으로 설정한 무진행생존기간(PFS)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한 탑라인(top-line) 결과를 발표했다. 유한양행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치료제 대상 레이저키닙과 표준치료제 ‘게피티니브(gefitinib, 제품명: 이레사)’을 비교한 LASER301 임상3상 결과를 14일 공시했다. 1차 종결점으로 설정한 PFS 지표에서 레이저티닙은 게피티니브 대비 환자의 병기진
압타머사이언스(Aptamer sciences)는 13일 폐암 조기진단키트 ‘압토디텍트-렁(AptoDetectTM-Lung)’의 보험등재 절차 진행을 위해 확증임상시험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압토디텍트-렁은 지난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등급 의료기기 승인을 획득한 진단키트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흉부 CT 후 결절이 발견된 환자 3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으로, 실제 진료환경에서 악성결절의 위험도 예측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일차 목적으로 한다. 경희대병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 승인을 시작으로 총
대웅제약은 13일 유럽소화기학회(UEGW 2022)에서 급성 또는 만성 위염 환자에 대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펙수클루'의 효능 및 안전성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소화기학회는 전세계 5만명 이상의 의사 및 보건전문가,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유럽 최대규모 학회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펙수클루의 위염 적응증 관련 유효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3상 분석내용이다. 펙수클루는 유효성 평가지표인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상 위점막 미란의 유효율’에서 20㎎정 1일 1회 용법에
의료 인공지능(AI) 코어라인소프트(Coreline Soft)가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A, A등급으로 통과했다고 13일 밝혔다. 코어라인은 내년 상반기중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표로 IPO를 진행중이며, 상장 주관사는 신한금융투자다. 코어라인은 지난해 11월 A, A등급을 받았지만, 시장상황 등을 고려해 상장계획을 수정해 다시 도전한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을 가진 기업이 기술평가기관 평가를 통해 일정 등급 이상을 확보할 경우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수 있도록 자격을 부여하는 제
동아에스티(Dong-A ST)는 제2형 당뇨병을 대상으로 진행한 ‘슈가논(Suganon, evogliptin)’+'메트포르민(metformin)'+'SGLT-2 저해제' 3제 병용요법의 임상3상 결과를 제58회 유럽당뇨병학회(EASD,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에서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EASD는 지난 9월 19일부터 23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됐으며, 이번 임상결과는 문준성 영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가 발표했다. 유럽당뇨병학회는 전 세계 130여 개국,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