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난치성질환 신약개발 바이오텍 티움바이오(Tiumbio)는 면역항암제로 개발하는 TGF-ß/VEGFR 저해제 ‘TU2218’의 임상개발이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의 ‘혁신신약 임상연구비 과제’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티움바이오는 TU2218와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Keytruda®)’ 병용투여 개발비용 중 약 17억5000억원 규모의 임상 연구비를 2년에 걸쳐 지원받게 된다. TU2218은 면역항암제의 낮은 반응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TGF-β/R1과 VEGF/R2를 동시에 저해하는 저분자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의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첫 임상결과가 공개됐다. 레고켐바이오의 ADC 플랫폼이 적용된 ADC 후보물질의 첫 임상 결과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8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고 있는 ‘World ADC 2022’에서 중국 파트너사 포순제약(Fosun Pharma)이 진행한 HER2 ADC ‘LCB14’의 임상1상 중간결과가 공개됐으며, 임상결과 발표는 LBC14의 글로벌 파트너사인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 최고과학책임자(C
HLB의 VEGFR2 TKI ‘리보세라닙(rivoceranib)’과 PD-1 병용투여가 간암 1차치료제 세팅으로 중국 항서제약(Hengrui Pharma)이 진행한 글로벌 임상3상에서 1차 종결점인 전체생존기간 중간값(mOS) 22.1개월이라는 결과를 냈다. 기존의 표준치료제인 ‘넥사바(소라페닙)’ 15.2개월 대비 생존기간을 7개월 늘린 결과이다. 리보세라닙과 PD-1 병용투여가 넥사바 대비 환자의 사망위험을 38% 줄인 결과이다(HR=0.62). 수치상으로는 같은 세팅에서 미국내 시판허가를 받은 로슈의 PD-L1 ‘티쎈트릭’과
셀트리온(Celltrion)은 7일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의 판상형 건선 임상3상 12주차 분석결과 오리지널의약품과 1차종결점에서 동등성을 확인한 결과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중등도 내지 중증 판상형 건선(plaque psoriasis) 환자 509명을 대상으로 스텔라라와 CT-P43의 유효성, 안전성 등을 평가하는 임상3상을 진행했다. 셀트리온은 1차종결점을 12주차시점에 기준선 대비 PASI(Psoriasis Area and Severity Index) 평균 백분율 개선을 평가해 CT-P43과 스텔
휴메딕스(Humedix)는 지난 6일 에피바이오텍(Epibiotech)과 탈모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휴메딕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자체 개발중인 탈모치료제 아이템에 에피바이오텍의 탈모치료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유형의 탈모치료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에피바이오텍은 탈모치료제 연구개발 기업으로, 탈모치료 관련 플랫폼기술 모유두세포 분리/배양기술, 유도만능줄기세포 제조기술, 오가노이드 기반 모낭세포 분화기술, 유전자편집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모유두세포를 활용한 탈모치료제 후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바이오텍 고바이오랩(KoBioLabs)은 궤양성대장염(UC) 치료제 후보물질 ‘KBLP-007(성분: KBL697)’의 임상2상 시험 지역에 국내를 포함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했다고 6일 공시했다. 고바이오랩은 국내 임상의들과 논의에 따라 KBLP-007 임상을 한국 지역을 추가해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4월 식약처가 ‘생균치료제 임상시험시 품질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마련함에 따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의 국내 임상 진행이 가능해진 제도적 기반을 고려한 결정이다. 앞
큐리언트(Qurient)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Q702'와 미국 머크(MSD)의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1b/2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6일 공시했다. Q702는 경구투여 Axl/Mer/CSF1R를 타깃하는 삼중저해제이다. 큐리언트와 머크는 공동 임상팀을 구성해 임상 계획을 수립했으며, 미국과 한국에서 약 1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0여개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NCT05438420). 타깃 적응증은 진행성 식도암, 위암, 간세포암, 자
프론트바이오(Frontio)는 6일 애드바이오텍(Adbiotech)과 동물용 항바이러스제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프론트바이오는 계약금과 상업화 이후 판매에 따른 로열티를 받게 된다. 애드바이오텍은 동물용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국내외 독점적 개발권을 가진다. 상세 계약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애드바이오텍은 소모성 질병 예방·치료제 파이프라인 확대에 나선다. 특히 돼지의 소모성 질병 치료제를 집중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돼지의 소모성 질병 중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의 원인인 PRRS바이러
항노화 전문 바이오기업 메디스팬(MediSpan)은 6일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TLR5(Toll-like Receptor 5) 작용제(agonist) ‘MSP-306’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메디스팬은 이번 과제선정을 통해 KDDF로부터 2년간 연구비를 지원받아 NASH 치료제 후보물질 MSP-306을 개발할 계획이다. MSP-306이 타깃으로 하는 TLR5는 세균 편모(flagella)를 구성하는 플라젤린(flagellin) 단백질에 의해 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Bio Therapeutics)는 6일 영국 AI기업 브레이노믹스(Brainomix)와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브릿지바이오는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하고 있는 ‘BBT-877’의 임상 2상에서 약물효과를 객관적·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후속 임상을 위한 효율적인 환자군 스크리닝 및 임상개발 가속화를 목표로 한다. 계약금 등 상세 계약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브릿지바이오는 BBT-877의 임상2상에서 브레이
가상현실(VR) 의료기기 전문기업 엠투에스(M2S)는 VR 기반 안구운동감시장치를 이용한 안과검사 확증임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5일 밝혔다. 엠투에스는 이번 임상에서 VR 기반 진단 소프트웨어에 대해 기존 전통적인 복시 및 사시 검사방법인 랑카스터(Lancaster) 검사와 비교한 유효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기존 검사가 주로 검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지하고 검사를 위한 별도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VR 기술을 활용한 진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이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엠투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오는 9일부터 13일까지(현지시간)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2)에서 CLL1xCD3 이중항체 ‘ABL602’의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 가능성을 발표한다. 특히 이번 발표에서는 임상단계의 경쟁 AML 이중항체와 직접 비교한 전임상 데이터도 공개된다. 에이비엘은 12일 혈액암 세션에서 ABL602의 전임상 데이터에 대한 구두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며, 본격적인 학회 발표를 앞두고 5일 ESMO 홈페이지에 초록 내용이 공개됐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전 AML 인비트로(in vitro)와 동물
루다큐어는 5일 만성 통증 치료제로 개발중인 TRPV1 길항제(antagonist) ‘RCI002’의 선도물질 개발 연구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루다큐어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연구개발비 8억여원을 2년간 지원받아 주관기관인 가천대의대 박철규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루다큐어가 발굴한 물질은 TRPV1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기전의 물질이다. 루다큐어는 선행연구에서 TRPV1 활성억제 효과와 더불어 만성 통증 동물모델에서 통증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또 기존 TRPV1
지노믹트리는 지난 3일 대한대장항문학회 국제학술대회(International Colorectal Research Summit 2022) 런천 심포지엄에서 ‘얼리텍 대장암검사’의 임상결과를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얼리텍 대장암검사는 조기에 대장암을 진단하기 위한 RT-PCR 기반 체외 분자진단 제품이다. 분변 속 DNA에서 대장암 조기진단 바이오마커인 신데칸-2(syndecan-2) 유전자의 DNA 메틸화(meSDC2)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2018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3등급 허가를 받았다. 발표는 이석환 강동경
앱티스는 5일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월드ADC(World ADC San Diego 2022)에서 ADC 기술 및 파이프라인에 대해 구두발표한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정상전 앱티스 대표가 연사로 나서 자체 개발한 ADC 링커 플랫폼 기술과 현재 개발 중인 ‘Claudin18.2 ADC’, Her2 ADC 그리고 자체 링커 기반 방사면역치료제(Radio-Immunotherapy) 등의 파이프라인 개발 현황을 발표한다. 월드ADC는 매년 가을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글로벌 빅파마와 ADC 전문바이오텍들이 ADC 플랫폼 기술과
유럽종양학회(ESMO)가 이달 9일(현지시간) 열릴 예정인 가운데 포스터 발표되는 VEGFR2 TKI 약물 ‘리보세라닙(rivoceranib)’ 관련 다수의 연구결과 초록이 5일 공개됐다. 별도로 이번 학회서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HLB의 리보세라닙과 항서제약(Hengrui Pharma)의 ‘캄렐리주맙(camrelizumab)’을 병용한 간암 1차 치료제 임상 3상 결과 초록은 ESMO 개최 하루 전인 8일 공개될 예정이다. 리보세라닙의 간암 대상 임상3상 결과는 10일 오전 위장 및 소화기관 주제로 진행되는 PP(Proff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