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움바이오가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인정받는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이 되고자 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미국 보스턴에 설립된 항체치료제 전문 개발 자회사 이니티움, 혈우병 치료후보물질의 호주 글로벌 임상 등이 이 비전을 이루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는 지난 25일 뉴스1이 주최한 글로벌바이오포럼에서 티움바이오가 보유한 핵심기술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향후 성장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티움바이오는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
대웅제약과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가 코로나19 진단키트 판매를 위해 손을 잡았다. 대웅제약은 미국과 유럽에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이용해 시선바이오의 제품들을 판매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26일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PCR 진단키트 제품 6종에 대한 글로벌 판매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대웅제약이 판매하게 되는 제품들은 신속진단을 위한 ‘에이큐탑시리즈’ 2종과 정밀진단을 위한 3종의 ‘유탑시리즈’, 검체채취 도구인 ‘탑바이러스 컬렉션키트’다. 검체 채취부터 진단까지 코로나19 진단의 전과정을 커버하는 ‘원스톱
디지털 테라퓨틱스(디지털 치료기기)를 연구 개발하는 에스알파테라퓨틱스(S alpha Therapeutics)가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30억원 규모의 시드 단계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시드에 참여한 투자자는 하나벤처스, 스틱벤처스, 아주IB, SJ투자파트너스, 토니인베스트먼트 등 5개 기관이 참여했다. 지난 2월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로부터 5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한 이후 약 9개월만에 재무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를 완료한 것이다. 에스알파테라퓨틱스는 2019년 7월에 설립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으로, 디
피플바이오는 24일 혈액기반 알츠하이머병 진단키트 ‘MDS-OaβTest’가 유럽 의료기기인증(CE)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MDS-OaβTest는 알츠하이머병 의심환자의 혈장에 존재하는 아밀로이드베타 올리고머의 농도를 효소면역분석법(ELISA)으로 정성적 검출해 발병위험도를 측정하는 제품이다. 피플바이오는 이번 인증으로 유럽에 판매가 가능해진만큼, 이를 바탕으로 유럽 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사를 선정해 라이선싱 계약을 맺고 유럽에 진출할 계획이다. 피플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인증이 곧바로 매출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유럽 등에
항체신약개발 전문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프랑스 제약그룹 피에르파브르(Pierre Fabre)와 신규 면역항암제 연구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한 의향서(LOI)에 서명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양사는 세부협의를 거쳐 향후 1개월 내에 최종 계약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3년 동안 파트너십을 진행하며, 추가 2년의 계약 연장도 가능하다. 피에르파브르는 양사가 공동 연구한 항체에 대한 모든 권리를 획득할 수 있는 라이선스 옵션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계약서에 합의된 계약금, 마일스톤 비용 및 로열티
수젠텍은 25일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에 코로나19(COVID-19) 항원 신속진단키트 60만개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수젠텍은 이달 초 독일과의 200만개 공급계약을 포함해 4분기 항원 신속진단키트 누적 신규 수주가 350만개를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수젠텍의 코로나19 항원 신속진단키트는 콧물 등 비인두스왑 검체를 이용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이다. 수젠텍은 별도의 장비 없이 20~30분내에 코로나19 감염 여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젠텍 관계자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3차 유행으로 인한 수요
퀀타매트릭스(QuantaMatrix)는 25일 결핵연구원과 공동개발한 신속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 장비 ‘QDST’와 ‘QMAC-DST 키트(QDST solution)’가 내년부터 질병관리청을 통해 사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퀀타매트릭스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내년부터 의뢰 검체에 대한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를 QDST 장비 및 키트를 사용해 진행할 예정이다. 사용부서는 세균분석과다. 퀀타매트릭스가 개발한 QDST(QuantaMatrix Drug Susceptibility Test) 솔루션은 결핵 양성판정 검체로부터 약 1주만에 항결핵
종근당은 25일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나파벨탄’이 러시아에 이어 멕시코에서도 임상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종근당은 멕시코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에 대한 나파벨탄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 2상을 승인받았으며, 멕시코의 국립보건원 중 하나인 살바도르 주비란 국립의학∙영양연구소와 협력해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살바도르 주비란 국립의학∙영양연구소는 코로나19 치료 지정병원이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코로나19로 인한 중등도 및 중증의 폐렴환자 약 118명을 대상으로 나파벨탄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며
셀트리온은 25일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regdanvimab)'의 글로벌 2상 임상에서 코로나19 환자 327명을 모집해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후 임상 2상 중간 결과 확인 후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CT-P59의 임상 2/3상을 승인받고, 국내 주요 의료기관을 비롯해 미국, 루마니아, 스페인 등의 국가에서 임상 2상을 진행해왔다. 셀트리온은 경도 및 중등도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 투여군, 저농도 투여군, 고농도 투여군으로 분류해 투약을
휴온스가 24일 충북 제천시 바이오밸리에 점안제 전용 ‘휴온스 제2공장(제2공장)’ 건설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헬스케어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전문성과 생산력 증대를 위해서다. 제2공장 준공에는 총 약 400억원이 투입되며, 부지 1만8142㎡에 연면적 1만2633㎡ 규모의 생산동과 물류센터가 건설된다. 완공은 오는 2022년 1월로, KGMP 인증을 받아 2023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 생산동에는 총 7개의 점안제 생산 라인이 구축된다. 이 중 3개 라인은 최신 설비를 도입할 예정이고, 나머지는 휴온스 제1공장의 점안제
이수앱지스가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수앱지스의 첫 기술이전 성과다. 이수앱지스는 24일 러시아 파마신테즈(JSC Pharmasyntez-Nord)와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ISU305’의 러시아, CIS 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전 계약에는 계약금과 마일스톤, 판매에 따른 로열티가 포함됐으나 공개하지는 않았다. 파마신테즈는 ISU305와 관련한 임상 3상을 러시아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이수앱지스 관계자는 “신약 개발 및 희귀의약품 개발과 판매에 주력해온 이수앱지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 23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SAFA(Serum Albumin Fragment Associated) 기술을 이용한 내분비, 면역, 염증질환 및 암 등을 타깃하는 지속형 단백질 치료제 신약개발 공동 연구를 위한 전략적 연구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두 기관은 SAFA기술을 활용 ▲내분비, 면역, 염증질환, 종양치료제 신약개발 및 진단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센터 설립 ▲양 기관이 소유한 연구개발 역량과 제품 개발 역량 인프라를 이용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학술회의 및 논문
셀레믹스가 24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2형 유전자(Genotype II) 26주(strain)를 일괄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셀레믹스가 이번에 개발한 ‘ASFV all-in-one 패널’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NGS 기반의 체외진단 제품이다. 질병 감염 여부만 파악 가능한 기존의 PCR 기반 키트와 달리 ▲질병 진단 ▲바이러스 유전자형 파악 ▲바이러스 염기서열 분석이 한 번의 혈액 검사로 모두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
SK바이오사이언스가 24일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NBP2001’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NBP2001의 임상 1상은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건강한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게 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NBP2001이 단백질 배양과 정제 과정을 거쳐 안정화된 합성항원백신이란 점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BP2001은 비임상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먼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8월 홍정주
휴온스글로벌은 23일 중국의 치과 전문기업 ‘헬스-미우미우(Health-MIUMIU)’와 카트리지 제형의 치과용 국소마취제 ‘리도카인에피네프린 주사제’에 대한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규모는 5년간 약 350억원(3044만 달러)으로, 현지에서 정식 허가를 마치는 2022년 2분기부터 매출이 발생할 예정이다. 휴온스글로벌은 수출계약을 체결한 ‘리도카인에피네프린 주사제’가 허가를 취득하면 중국 최초의 ‘리도카인 복합제’가 된다는 설명이다. 휴온스글로벌의 리도카인 주사제 ‘카트리지 제형’은 바로 인젝터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업 경영활동의 뉴노멀(New Normal)로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과 투명한 지배구조를 의미하는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와 같은 사회적가치에 집중하는 경영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동아제약은 포스트코로나와 미래의 불확실성 대비를 위해 지속가능경영을 목표로, 기업경영과 사회적가치 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자 올해 ‘사회적가치위원회’를 출범했다고 23일 밝혔다. 위원회는 최호진 동아제약 사장이 위원장을 맡았으며, 부위원장과 10명의 정위원, 16명의 소위원, 공정, 준법,
오름, 결국 'HER2 GSPT1 DAC' "자진취하..개발중단"
셀트리온, 'HER2xCD3 TCE' 전임상 "AACR 구두발표"
ADC ‘임상 439건’ 페이로드·링커 “바뀐 시각 3가지?”
中서 'VEGFxPD-1' 폐암1차도 허가..첫 OS, 주가 36%↓
할로자임, 머크 '키트루다 SC' 상대 "특허 소송"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티움바이오 최대주주 등, 한투파 지분 8.2% "인수완료"
'ADC 플랫폼' 인투셀, 내달 23일 코스닥 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