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는 8일 영국 씨엠알써지컬(CMR Surgical)과 수술 로봇 ‘베르시우스(Versius)’에 대한 국내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씨엠알써지컬은 영국의 수술 로봇 전문 개발사로, 베르시우스는 지난 2019년 출시됐다. 베르시우스는 크기가 작고 각 로봇 팔이 별도의 카트로 분리된 모듈형이다. 수술 방법 및 수술실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배치가 가능해 편의성이 높고 공간 제약이 많은 수술실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특히 최근에 눈으로 확인 불가한 영역을 3D HD 기술로 시각화
저분자 항암제 개발 바이오텍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4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DIPS 1000+)’에 최종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는 대표 파이프라인인 선천면역(cGAS-STING) 활성화 기전의 ENPP1 저해제 ‘TXN10128’를 통해 이번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에 선정됐다. 티씨노바이오는 이번 과제 선정에 따라 올해 5월부터 3년간 약 5억원의 개발 비용을 지원받게 된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기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SN BioScience)는 7일 고분자 나노입자 항암신약 후보물질 'SNB-101(주성분: SN-38)'에 대하여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소세포폐암을 적응증으로 패스트트랙 지정(Fast Track Designation)을 받았다고 밝혔다. 패스트트랙은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질병에 대한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고, 심사기간을 단축하고자 고안된 제도다. 패스트트랙에 지정되면 FDA와 신속하고 빠른 협의가 가능하고, 전체 임상시험 자료를 일괄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통상적인 허가신청 절차와 달리 완성된 부분부터
액체생검 및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GC지놈(GC Genome)은 이달 31일부터 5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새로운 인공지능(AI) 액체생검 플랫폼의 임상 데이터를 공개한다고 7일 밝혔다. GC지놈은 지난달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4)에서 폐암 조기발견을 위한 액체생검 유전자 분석 기술 등 6개의 연구성과를 공개했으며, 오는 ASCO에서는 AI 액체생검 플랫폼을 이용한 대장암 검출 기술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GC지놈의 이번 데이터는 미국 관계사인 지니스헬스(Genece Heal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차세대 비만 치료제로 개발하는 삼중작용제(LA-GLP/GIP/GCG, 코드명 HM15275)의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임상 시험에서는 건강한 성인 및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5275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특성 등을 평가한다. 한미약품은 HM15275가 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가 기대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오랜기간 대사성 질환 분야에서 쌓아온 R&D 역량을 토대로 임
메디픽(MEDIFIC)은 오는 5월31일부터 6월4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SREBP1 분해제 ‘MFC0101’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7일 밝혔다. 해당 포스터 제목은 ‘교모세포종을 치료하기 위한 ‘first-in-class’ SREBP 분해약물을 통한 지질대사의 약리학적 타깃(Pharmacological targeting of lipid metabolism by a first-in-class SREBP-targeted degrader to treat gliob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는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개발하는 TNF 저해제 ‘HL036 (물질명 탄파너셉트)’의 세번째 임상3상(VELOS-4)을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탄파너셉트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미국내 60개 안과병원에서 750명의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환자는 3그룹으로 나뉘어 매일 2회씩 12주간 탄파너셉트 0.25%, 1.0% 또는 위약(vehicle)을 8주동안 투여해, 투여전대비(baseline) 대비 눈문 분비량 개선을 확인하게 된다. 1차 종결점
전임상 유효성 평가전문기관(CRO) 나손사이언스(Naason Science)는 유전자치료제 인공지능(AI) 기업 스파이더코어(Spidercore)와 RNA 신약 파이프라인 발굴 및 사업화를 목표로 하는 공동연구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스파이더코어의 유전자치료제 AI플랫폼 ‘S.CoreTM Genetica’를 활용해 RNA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협력하게 된다. 스파이더코어는 S.CoreTM Genetica를 활용해 발굴한 신약후보물질을 제공하고, 나손사이언스는 이를 동물
셀트리온(Celltrion)은 7일 램시마SC가 유럽내 핵심 지역인 독일에서 지난해 4분기에 39%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셀트리온이 개발한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치료제 램시마SC는 지난해 4분기 기준 독일에서 39%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현지법인의 직판 영업활동에 힘입어 출시 첫 해인 2020년 3%에 불과했던 시장점유율이 연평균 약 10%p씩 성장을 거듭했다. 독일에서 램시마SC의 성장은 정맥주사(IV) 제형 ‘램시마’의 처방 확대에도 영향을 줬다. 2023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오는 5월15일부터 18일까지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에서 열리는 미국 피부연구학회(Society for Investigative Dermatology, SID 2024)에서 Wnt 표적 탈모치료제 ‘JW0061’의 전임상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7일 밝혔다. JW0061은 GFRA1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Wnt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켜 모낭 증식과 모발 재생을 촉진시키는 후보물질이다. JW0061은 JW중외제약의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주얼리(JWELRY)'를
티움바이오(Tiumbio)가 성선자극호르몬(GnRH) 길항제(antagonist) ‘메리골릭스(Merigolix, TU2670)’의 자궁내막증 유럽 임상2a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7일 공시했다. 이날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아이큐비아(IQVIA)로부터 탑라인 데이터를 수령했다. 주요 결과로 자궁내막암 환자에게 메리골릭스를 투여한 결과 모든 용량에서 위약 대비 1차 종결점(primary endpoint)인 월경통(dysmenorrhea)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킨 결과를 확인했다. 이번 임상2a상은 이탈리아, 폴란드
아름테라퓨틱스(Arum Therapeutics)가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리드 프로그램인 Chk2 저해제 ‘ART446’의 병용투여 개발 접근법을 업데이트했다. 백태곤 아름테라퓨틱스 대표는 지난달 9일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4) 포스터발표에서 “최근 차세대 합성치사 타깃으로 개발되는 ATR 저해제, WEE1 저해제 등이 임상에서 독성으로 인해 개발이 중단됐다”며 “Chk2는 세포주기(cell cycle) 조절 인자로 DNA 손상(DNA damage)을 받게 되면 ATM-Chk2 경로에 따라 활성화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볼파라헬스테크놀로지(Volpara Health Technologies ) 인수를 위한 1665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유치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자금 조달은 해외법인 인수를 통한 신시장 개척, 매출 상승 등 루닛이 계획하는 미래 비전에 공감한 30여개 기관투자자가 참여했다. 이런 가운데 뉴질랜드 고등법원은 지난 3일 루닛의 볼파라 인수를 최종 승인했다. 동시에 볼파라 주식은 호주 주식시장에서 거래 정지됐다. 이로써 볼파라 인수를 위한 모든 법적 절차는 마무리됐으며, 이번
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Hanmi Science)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202억원과 영업이익 373억원, 순이익 311억원을 기록했다고 3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9.9%, 영업이익은 19%, 순이익은 16.4% 증가했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자는 “각 핵심 계열사의 고른 실적 상승과 헬스케어사업 부문에서의 성과가 뒷받침되며 호실적을 달성하게 됐다”고 말했다. 핵심 계열사인 한미약품의 올해 1분기 매출은 403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8% 상승했고,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도 1분기 매
휴젤(Hugel)은 3일 E타입의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개발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휴젤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적으로 시판된 E 타입 보툴리눔 톡신 제품은 없다. 휴젤은 보유중인 A타입의 보툴리눔 톡신제제 ‘보툴렉스’에 이어 다양한 균주 타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A타입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톡신으로 투여 3~7일 이후부터 서서히 효과가 나타나 6개월 이상 약효가 지속된다. 반면 E타입은 투여 24시간 내 효과가 발현돼 4주간 유지되는 것이 특징으로 보다 빠른 효과를 원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항암바이러스(oncolytic virus) 개발 바이오텍 바이로큐어(ViroCure)는 리드 프로그램인 리오 항암바이러스(oncolytic reovirus) ‘RC402’의 ‘first-in-human’ 임상1상 결과를 공개했다. 바이로큐어는 지난달 9일(현지시간)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4)에서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RC402 단독투여와 PD-1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와 병용투여를 평가한 임상1상 결과를 발표했다. RC402는 변형하지 않는 야생형(WT) 리오바이러스로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감염돼, 세포내에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프로젠, 220억 투자유치.."유한·JW중외 30억씩 참여"
BMS, 빅 베팅 ‘미오신 저해제’ 후속 적응증 3상 “실패”
'매출 TOP10' 글로벌 빅파마, 작년 순위 변화는?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글리코마인, 시리즈C 1.15억弗..희귀질환 ’LNP 대체요법’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급여 3주년 “치료기회 확대”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파노로스, 최민수 상무 영입..前넷타겟 대표
유한의학상 대상에 박완범 서울의대 부교수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유바이오로직스, 'mRNA 백신개발' 질병청 과제선정
젠큐릭스, '유방암 예후진단' 경쟁제품 비교 "논문 게재"
펩트론, ‘CNP 유사체’ 연골무형성증 1상 “자진취하”
대웅제약, 당뇨약 '엔블로' 중남미·러시아 7개국 허가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