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슈(Roche)가 고위험 간암(HCC) 환자 대상 수술후요법(adjuvant)으로 PD-L1 항체 ‘티쎈트릭(Tecentriq, atezolizumab)’과 VEGF 항체 ‘아바스틴(Abvastin, bevcacizumab)’의 병용요법을 평가한 임상3상에서 사망위험(hazard ratio, HR)을 28% 개선시킨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임상은 고위험 간암 환자의 수술후요법에서 무재발생존기간(recurrence-free survival, RFS)을 개선시킨 첫 임상이라고 로슈는 의미를 부여했다. 고위험 간암 환자의 경우 대부분
네덜란드 아젠엑스(Argenx)와 덴마크 젠맙(Genmab)이 면역질환(immunology)과 암질환(Oncology)에 대한 신규 항체치료제를 공동개발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공동연구를 통해 면역질환과 암질환에서 미충족의료수요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신규 항체 발굴 및 개발을 위해 각각의 회사가 보유한 항체기술 플랫폼과 항체치료제 에셋을 이용할 수 있다. 젠맙과 아젠엑스는 협력을 통해 개발한 항체 후보물질의 발굴, 개발 및 상업화를 공동으로 진행하며 개발비용과 상업화 이후 매출을 동등하게 분담한다. 두
TORL 바이오테라퓨틱스(TORL BioTherapeutics LLC)가 지난 13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1억5800만달러의 투자금을 받았다고 발표하며 공식적인 출범(public launch)을 알렸다. 이번 시리즈B 투자는 골드만삭스자산운용(Goldman Sachs Asset Management)이 리드했으며, 신규 투자자로 BMS, UC(UC Investments), 버텍스(Vertex Ventures HC), 딥트랙캐피탈(Deep Track Capital), 무어스트래티직벤처스(Moore Strategic Ventures)
얀센(Janssen)이 미국 파이프라인 테라퓨틱스(Pipeline Therapeutics)로부터 신경계질환(nervous system disorders)을 대상으로 개발중인 M1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M1 receptor, M1R) 길항제(antagonist) ‘PIPE-307’의 글로벌 권리를 10억5000만달러 규모로 사들였다. PIPE-307은 임상1상을 완료하고 재발-완화형 다발성경화증(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RRMS)에 대한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PD-L1 '임핀지(Imfinzi, durvalumab)’의 절제가능(resectable)한 2A~3B(IIA~IIIB)기 비소세포폐암(NSCLC) 수술전요법(neoadjuvant)에서 무사건생존기간(event-free survival, EFS)을 32% 개선한 결과를 내놨다. 미국 머크(MSD), BMS, 로슈(Roche) 등 경쟁기업의 PD-(L)1 약물의 환자군은 1B~3A기 NSCLC에 대한 수술전 또는 수술후요법을 적응증으로 가지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승인에서 한발 뒤쳐진 모습이지만
아스텔라스(Astellas)는 지난 11일 난청 치료제 후보물질 ‘FX-322’ 개발을 중단하고, 어댑티뮨(Adaptimmune)과의 동종유래 CAR-T 및 TCR-T 후보물질 개발 파트너십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이달부터 업무를 시작한 아스텔라스의 신임 CEO 나오키 오카무라(Naoki Okamura)의 공격적인 첫 행보다. 지난 2월 아스텔라스는 최고전략책임자(chief strategy officer)인 오카무라를 CEO로 신규 선임했다. 오카무라 CEO는 지난 2019년 아스텔라스가 AAV 유전자치료제 기업 아우덴티스(Aud
미국 피라미드(Pyramid Biosciencse)는 13일(현지시간) 중국 진퀀텀(GeneQuantum Healthcare)으로부터 TROP2 ADC ‘GQ1010’의 중화권 지역을 제외한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인(L/I)하는 10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피라미드는 진퀀텀에 계약금 2000만달러에 더해 개발 및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10억달러를 지급한다. 판매에 따른 단계별 로열티는 별도다. 피라미드는 향후 1년 이내에 GQ1010의 임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GQ1010은 진퀀텀의 i
클라우딘1(Claudin-1) 단백질을 타깃해 항암 및 만성 섬유증 치료제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알렌티스 테라퓨틱스가(Alentis Therapeutics)가 지난 13일(현지시간) 시리즈C로 1억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리즈C 투자는 지토캐피탈(Jeito Capital), 노보홀딩스 A/S(Novo Holdings A/S), RA캐피탈(RA capital Management)이 공동으로 리드했으며, 기존 투자자인 비비퓨레오스바이오벤처스(BB Pureos Bioventures), 비피프랑스(Bpifrance),
일라이릴리(Eli lilly)는 지난 13일(현지시간)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타깃 IL-23 항체 ‘미리키주맙(mirikizumab)’의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LA)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 CRL)를 받았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FDA는 CRL를 통해 제시된(proposed) 미리키주맙의 제조공정을 지적했으며 미리키주맙의 임상 결과(data package), 안전성, 라벨(label)에 대해서는 우려할 사항이 없다고
하이바이오(Human Immunology Biosciences, HI-Bio)가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희귀질환인 원발성 막성신병증(primary membranous nephropathy, PMN)의 임상2상에서 진단 및 예후 관련 바이오마커 ‘PLA2R’ 수치와 단백뇨 증상 등을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하이바이오는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하이바이오가 이번 임상에 사용한 약물은 CD38 항체 ‘펠자르타맙(felzartamab)’으로 병원성 항체를 생산해 신장 사구체를 손상시키는 CD38 양성 형질
GSK가 지난해 10월 개발중단을 선언한 고형암 TCR(T-cell receptor)-T 세포치료제 에셋들의 본격적인 반환에 들어갔다. 어댑티뮨 테라퓨틱스(Adaptimmune Therapeutics)는 지난 11일(현지시간) GSK와 PRAME 및 NY-ESO 타깃 TCR-T세포치료제 프로그램의 권리 및 자료반환을 위한 전환계약(transi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반환계약을 통해 GSK와 어댑티뮨은 올해 안에 어댑티뮨으로 전임상 단계의 PRAME 타깃 TCR-T 세포치료제 프로그램과 관련된 시료(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에스팩트 바이오시스템즈(Aspect biosystems)로부터 세포를 잉크처럼 활용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다. 에스팩트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노보노디스크와 비만 및 당뇨병의 '조직 치료제' 개발을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노보노디스크는 에스팩트에 계약금, 연구 지원금 및 전환사채(convertible note) 방식의 투자금으로 7500만달러를 지급한다. 또한 향후 개발, 허가 및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치료제 한 건당
모더나(Moderna)가 북반구 지역에서 진행한 mRNA 4가백신 후보물질 ‘mRNA-1010’ 인플루엔자 A/B 임상3상의 효능 중간분석(efficacy interim analysis)에서 조기종료(declare early success)하기에는 사례가 부족(not enough cases)한 결과를 내놨다. 모더나에 따르면 독립적인 데이터안전성모니터링위원회(DSMB)는 효능 중간분석에서 임상을 조기종료하기에 통계적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아(did not meet the statistical threshold), 다음 분석까지 추적
다케다(Takeda)가 알츠하이머병(AD)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트레벤티스(Treventis)와 파트너십 딜을 체결했다. 앞서 다케다는 지난 2018년 디날리 테라퓨틱스(Denali Therapeutics)와 알츠하이머병 및 그 외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약 10억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한 후 파트너십을 이어왔다. 그러나 작년 1월 디날리는 다케다와 공동개발을 진행한 TREM2 타깃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DNL919’의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했다가 임상보류 조치를 받았다. 디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s)와 유사한 컨셉의 신약 ETB(Engineered Toxin Body)를 개발하는 몰레큘러 템플릿(Molecular Templates, MTEM)이 심장관련 부작용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임상보류 조치를 받았다. ETB는 시가 독소 A 서브유닛(Shiga toxin A subunit, SLTA)이 결합된 항체 치료제다. 시가 독소가 융합된 ETB 플랫폼은 시가 독소 고유의 세포내이입(Endocytosis) 메커니즘을 통해 암세포 내부로 침투한 뒤 암세
지난해 파산절차를 시작한 클로비스 온콜로지(Clovis Oncology)가 PARP 저해제 ‘루브라카(Rubraca, rucaparib)’를 1억3500만달러 규모에 매각한다. 클로비스는 루브라카의 상업화 부진과 규제 허들 속에서 지난해 12월 파산을 신청하고, 에셋 매각절차를 진행해오고 있었다. 클로비스는 이번 루브라카를 매각하기 이전, 파산 절차에 따라 노바티스(Novartis)에 FAP 타깃 방사선핵종(radionuclide) 치료제 후보물질 ‘FAP-2286’을 계약금 5000만달러 규모에 매각했다. 루브라카는 클로비스가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프로젠, 220억 투자유치.."유한·JW중외 30억씩 참여"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BMS, 빅 베팅 ‘미오신 저해제’ 후속 적응증 3상 “실패”
글리코마인, 시리즈C 1.15억弗..희귀질환 ’LNP 대체요법’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급여 3주년 “치료기회 확대”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파노로스, 최민수 상무 영입..前넷타겟 대표
유한의학상 대상에 박완범 서울의대 부교수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유바이오로직스, 'mRNA 백신개발' 질병청 과제선정
젠큐릭스, '유방암 예후진단' 경쟁제품 비교 "논문 게재"
펩트론, ‘CNP 유사체’ 연골무형성증 1상 “자진취하”
대웅제약, 당뇨약 '엔블로' 중남미·러시아 7개국 허가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