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항체 파트너사 넥스트큐어(NextCure)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B7-H4 항체-약물접합체(ADC) ‘LNCB74’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리가켐바이오 미국 자회사 ACB(AntibodyChem Biosciences)의 임상전문가와의 협력하에 넥스트큐어가 주도하며,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에서 진행되는 임상이다. 넥스트큐어에따르면 65명을 대상으로 LNCB74 5개 용량을 평가하는
미국 머크(MSD)가 난소암(ovarian cancer)에서 PD-1 항체 ‘키트루다(Keyturda)’와 PARP 저해제 ‘린파자(Lynparza, Olaparib)’ 병용투여를 통해 무진행생존기간(PFS)을 개선한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공개했다. 다만 전체 피험자(intention-to-treat, ITT)에서 분석한 결과 키트루다가 치료에 미치는 효능(role)이 현재로서는 불확실(uncertain)하다고 설명을 덧붙이는 등 머크는 성공을 확신하기에 이르다는 애매한 입장을 내놨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밝히지 않았다.
항암제 개발 바이오텍 아벨로스 테라퓨틱스(Avelos Therapeutics)가 설립된지 3년만에 ‘first-in-class’ 리드 프로그램의 임상개발에 들어간다. 아벨로스는 항암제 분야에서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DNA 손상 반응(DNA damage response, DDR), 세포주기(cell cycle) 등에 포커스한 저분자화합물 신약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2021년 9월에 설립됐다. 아벨로스는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MASTL 인산화효소 저해제 ‘AD1208’의 임상1상 시험계획(IN
큐로셀(Curocell)은 CD19 CAR-T 후보물질 ‘안발셀’이 보건복지부의 ‘허가신청-급여평가-약가협상 병행 시범사업’ 2호 대상 약제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큐로셀은 내년 출시를 목표로 하며, 제품명은 림카토주로 정했다. 이로써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신청 단계부터 급여평가, 약가협상이 동시에 진행돼, 중증 혈액암 환자에게 더 빠른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안발셀은 재발성, 불응성 거대B세포림프종(LBCL)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CAR-T 후보물질로, 임상2상 최종 결과에서 완전관해(CR) 67.1%였다.
시스톤 파마슈티컬(CStone Pharmaceuticals)이 ROR1 항체-약물접합체(ADC)의 개발 전략을 더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번 미국 혈액학회(ASH 2024)에서 9일(현지시간) 진행성 B세포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잠재적인 임상2상 권장용량(RP2D)’에서 전체반응률(ORR) 76.9%를 확인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했다. ROR1 ADC ‘CS5001’의 8번째 용량 125μg/kg를 13명 환자에게서 평가한 결과이며, 해당 코호트에서 20%가 넘는 환자가 이전 CAR-T와 조혈모세포이식(HSCT)를 받은 경험이 있다
누빅 테라퓨틱스(Nuvig Therapeutics)가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 다른 접근법으로 ‘Fc 절편 면역조절제(Fc fragment immunomodulator)’라는 새로운 컨셉을, 개념입증(PoC) 임상2상으로 진전시키기 위해 1억6100만달러의 펀딩을 마쳤다. 누빅이 개발하는 Fc 절편 ‘NVG-2089’은 타입II Fc 수용체(FcR)에 작용하는 면역조절제로, 현재 시판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는 면역을 억제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뚜렷한 한계점이 있다고 본다. 항체의 IgG를 조절하는 것이 염증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아
RNA 기반 분자진단 전문기업 제노헬릭스(Xenohelix)가 중합효소기반 액체생검 전문기업 진캐스트(GENECAST)와 유전자 진단 사업화를 협력한다고 10일 밝혔다. 제노헬릭스는 마이크로 RNA 기술을 통해 분자진단 마커 및 시약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으로 핵산분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진캐스트는 변이특이적인 증폭을 통해 높은 민감도를 구현하는 기술 ADPS(allele-discriminating priming system)를 적용한 액체생검 암진단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제노헬릭스는 고성능의 혈액세포유리DNA(
큐리언트(Qurient)는 MD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와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Axl/Mer/CSF1R 삼중저해 TKI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의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임상 계획을 미국 혈액학회(ASH 2024)에서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지난 10월 MD앤더슨 암센터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AML 환자를 대상으로 화학항암제인 ‘아자시티딘(azacitidine)’과 Bcl-2 저해제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아드릭세티닙 삼중요법을 평가하는 연구자
GSK가 덴마크의 무나 테라퓨틱스(Muna Therapeutics)와 알츠하이머병(AD) 신규타깃 발굴과 치료제 개발을 위한 딜을 체결했다. 계약금 3350만유로(3500만달러), 타깃별 1억4000만유로가 포함된 딜이다. GSK는 AD 등의 퇴행성신경질환 영역에 투자를 이어오고 있는 상황으로, 지난달에는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이 설립한 베살리우스 테라퓨틱스(Vesalius Therapeutics)와 6억5000만달러 규모의 파킨슨병(PD) 치료제 개발 딜을 체결했다. 또한 지난 2021년에는
바이오엔텍(BioNTech)이 지난해 중국 듀얼리티 바이오(Duality Bio)에서 사들인 B7-H3 항체-약물접합체(ADC) 임상1/2상의 소세포폐암(SCLC) 환자군에서 전체반응률(uORR) 56.2%를 확인한 중간 데이터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ADC 약물 ‘BNT324(DB-1311)’는 바이오엔텍이 지난해 듀얼리티에서 총 16억7000만달러 규모에 사들인 2개 ADC 후보물질 중 하나이며 두 회사는 현재 BNT324를 포함해 3개 ADC 후보물질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재 B7-H3 ADC 개발 경쟁에서 미국 머
바이오에이지 랩스(BioAge Labs)가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지 2달여만에 핵심적인 비만 임상2상 프로그램에서 간독성 부작용이 발생하며 개발을 중단했다. 바이오에이지는 설립 초기에는 항노화 치료제를 전문으로 개발했었다. 그러다 올해초 리드에셋인 아펠린(apelin) 작용제의 근육보존 기능에 기반해 비만으로 전략을 변경하면서 1억7000만달러의 시리즈D 투자를 유치했다. 이어 지난 8월 나스닥 상장에 앞서 GSK 대표 출신의 장 피에르 가르니에(Jean-Pierre Garnier) 박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영입해 리더십을 강화했고,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는 9일 이사회에서 대주주인 CJ제일제당을 대상으로 40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CJ바이오사이언스는 주당 1만119원에 총 395만2960주를 발행하며, CJ제일제당이 주식 전량을 인수하게 된다. CJ제일제당은 대주주로서 책임강화 차원에서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의 임상3상 결과에서 1차 종결점에 도달했다. 특히 세노바메이트 고용량 투여시 모든 환자에게서 발작이 감소된 결과를 확인했다. SK바이오팜은 6일부터 1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고 있는 2024 미국뇌전증학회(AES 2024)에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동북아 환자 대상 임상3상 연구결과를 포스터 발표로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세노바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AZ)가 폐암에서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의 개발 전략을 EGFR 변이 폐암으로 바꾼지 채 한달도 안 돼, 이를 뒷받침하는 세부 임상결과를 공개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전략 변경을 결심했던 근거가 되는 데이터로, 지난 5일(현지시간) ESMO 아시아(ESMO Asia 2024)에서 공개한 세부 결과에 따르면 EGFR 변이 폐암 환자에게서 TROP2 ADC를 투여하자 전체반응률(ORR) 42.7%를 확인했다. 회사의 블록버스터인 ‘타그리소’를 이전 투여받았던 환자에게서 ORR은 44.8
미쓰비시 다나베 파마(Mitsubishi Tanabe Pharma)가 듀포인트 테라퓨틱스(Dewpoint Therapeutics)와 루게릭병(ALS) 신약개발을 위해 4억8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다. 듀포인트는 생체응축물(biomolecular condensate) 기반의 신약개발을 하는 회사로, 이번에 미쓰비시와 계약을 맺은 약물도 생체응축물로 알려진 TDP-43의 축적을 조절하는 기전을 가진 응축물 조절 약물(c-mod)이다. 미쓰비시는 지난 4일(현지시간) 듀포인트와 ALS 신약개발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선천성 고인슐린증 치료제로 주1회 투여제형으로 개발하고 있는 글루카곤 유사체(GCG analog) ‘에페거글루카곤(LAPSGlucagon analog, HM15136)’의 임상2상 중간 결과를 공개했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16일부터 18일(현지시간)까지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유럽소아내분비학회(ESPE)에 참가해 선천성 고인슐린증 치료제 후보물질 ‘에페거글루카곤’의 연구 성과와 임상2상 중간 분석결과를 포스터 발표, e포스터 구두발표를 통해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선천성 고인슐린증
BMS도, ‘옵디보+여보이’ 대장암 1차 “美 FDA 승인”
에이비엘-유한, 'EGFRx4-1BB' 비임상 "AACR 발표"
에이비엘 "GSK 공격적, 3개월만에 딜..Aβ·타우 제외"
서정진 회장, 셀트리온 주식 500억 규모 장내매입키로
'세포·유전자’ CDMO 앰플리파이, 출범 4년만에 “폐업”
페링, 방광암 첫 유전자치료제 “첫해 7천만€ 벌어"
노바티스, 美 제조·R&D에 5년간 "230억弗 투자"
솔루, 시리즈A 4100만弗..GSK ‘CyTAC’ 플랫폼 임상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CSO) 영입
디티앤씨 휴사이언스, 조권 대표 선임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거래소, 오스코텍 자회사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유한양행, ‘비판텐 연고’와 ‘카네스텐’ 판매 호조
HLB제넥스, 뉴로토브 지분 74.73% 확보 "자회사 편입"
에스티팜, 글로벌 ‘CRISPR 학회’ 참가..기술 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