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와 메쥬(Mezoo)는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CES 2025’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하이카디’ 전시부스를 운영,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과 가정용 개인 건강관리 모니터링 장비를 선보였다고 13일 밝혔다. 하이카디는 디지털헬스케어 회사인 메쥬에서 개발한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으로, 동아에스티는 메쥬와 하이카디 관련 제품에 대한 국내 및 해외 판권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행사기간 동안 부스에서는 실시간 환자 심전도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플러스’
CDMO 이엔셀(ENCell)은 13일 바이오공정 기술 솔루션 기업 싸토리우스코리아(Sartorius Korea)와 공동으로 아데노연관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AAV) 생산공정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AAV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활발히 이용되는 바이러스 벡터로, 이번 협업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유전자치료제를 대규모 생산을 위한 공정개발을 완료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엔셀에 따르면 회사는 AAV 생산기술 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바이러스 벡터 생산 시스템 개발을 통해 유전자치료제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과 GC녹십자(GC Biopharma)는 지난 9일 파브리병 치료제 후보물질 ‘LA-GLA(HM15421/GC1134A)’의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3일 밝혔다. LA-GLA은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세계 최초 월1회 피하투여(SC) 용법으로 공동 개발중인 파브리병 치료제다. 두 회사는 지난해 8월 임상1/2상 IND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바 있다. 회사는 임상에서 파브리병 환자를 대상으로 LA-GLA의 안전성,
HLB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는 혈액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CD19 타깃 CAR-T 후보물질 'SynKIR-310'의 임상1상 첫 환자 투여를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SynKIR-310의 첫 환자 투여는 미국 사라 캐논 연구소(SCRI)의 콜로라도 혈액암 연구소(CBCI)에서 진행됐다. 이번 CELESTIAL-301 임상1상은 기존 CAR-T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CAR-T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NHL) 환자 최대 18명을
유한양행(Yuhan)이 면역항암제 개발 전문회사 박셀바이오(Vaxcell Bio)와 지난 10일 반려견 전용 유선종양 면역항암제 '박스루킨-15'의 마케팅과 판매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박셀바이오의 박스루킨-15는 지난해 8월 국내 최초로 반려견 전용 유선종양 면역항암제로 품목허가를 받았다. 지난 12월에는 적응증을 림프종으로 확대하기 위한 품목허가 확대 신청서를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제출한 상태이며 추가적인 적응증 확대를 위한 연구도 별도로 추진중에 있다. 회사에 따르면 최근 9세 이상의 노령견 비율이
한독(HANDOK) 자회사 바이오·헬스케어 액셀러레이터 이노큐브(INNOCUVE)가 연세대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와 함께 세브란스-이노큐브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해 9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고 13일 밝혔다. 또한 지난달 23일에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을 마쳤다. 세브란스-이노큐브 벤처투자조합은 의약품,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바이오·헬스케어 전 분야에서 혁신 기술을 보유한 국내외 스타트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세브란스-이노큐브 벤처투자조합은 이노큐브와 연세대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가 보유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해 성장 가능성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13일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와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Epysqli, 프로젝트명 SB12, 성분명 에쿨리주맙)’의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상업화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에피스클리 개발사로서 제품의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고 테바는 미국 내 마케팅 및 영업 활동을 맡을 예정이다. 에피스클리는 미국 알렉시온(Alexion)이 개발한 희귀질환 치료제 ‘솔리리스(SOLIRI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12일(현지시간) 미국 파트너사 넥스트큐어(NextCure)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B7-H4 항체-약물접합체(ADC) ‘LNCB74(LCB41A)’의 고형암 대상 미국 임상1상 첫 환자 투약이 개시됐다고 밝혔다. 앞서 넥트스큐어는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LNCB74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은 바 있다. 이번 임상은 리가켐바이오의 미국 자회사 ACB(AntibodyChem Biosciences)의 임상전문가과 협력하에 넥스트큐어가 주도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 셔틀 플랫폼을 개발하는 리스큐어 바이오사이언스(Liscure Bioscience)가 pre-IPO로 200억원을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신규 투자자로 유안타인베스트먼트, 인터밸류파트너스, 디티앤인베스트먼트, IBK증권, 이지스자산운용 등이 참여했고, 기존 투자자로 인트론바이오, 로이투자파트너스, 뮤어우즈벤처스, 유경PSG자산운용 등이 참여했다. 리스큐어는 이번 투자금을 간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LB-P8’의 미국 임상2상 진행과 글로벌 제약사들과 BBB셔틀
이수그룹 계열사 이수앱지스(ISU ABXIS)는 ErbB3 항체 'ISU104'를 적용한 CAR-NK 약물 ‘ISU104-CAR-NK’로 유방암 마우스모델에서 종양크기의 감소를 확인한 내용의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CII(Cancer Immunology Immunotherapy, IF:4.6)에 게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이수앱지스와 김석호 동아대 의생명과학과 교수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이수앱지스는 ISU104-CAR-NK를 유방암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모델에 처리해 효능, 안전성 등을 확인했다. 그 결과 암세포가 사
LG화학(LG Chem)은 10일 PN(Poly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티드)성분 스킨부스터 ‘비타란(HP VITARAN, 수출명 HP Cell VITARAN i)’ 태국 판매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태국법인의 직판망을 바탕으로 2021년 태국에 첫 선을 보인 미용필러 ‘이브아르(YVOIRE)’에 이어 에스테틱 제품군을 확장한 것으로 두 제품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태국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회사에 따르면 비타란은 지난해 재생의학기술 연구 및 제조기업인 ‘비알팜’에서 도입한 스킨부스터 의료기기로 주사제형, 고품질
자이메디(Zymedi)는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인세리브로(inCerebro)와 양자컴퓨팅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자이메디는 그동안 단백질 번역효소(ARS Aminoacyl-tRNA synthetase)들을 기반으로 'first-in-class)' 임상, 비임상 파이프라인들을 개발해왔다. 자이메디는 이번 협약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고도화하고, 새로운 파이프라인 발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양자컴퓨팅에 기반한 AI 신약개발 회사인 인세리브로와 협력하게 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주요 협력사와의 동반성장과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상생협력 데이'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9일 오후 인천 송도국제도시 경원재호텔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김동중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과 경영진, 글로벌 공급사인 아반토(Avantor), 싸이티바(Cytiva), 머크(Merck), 싸토리우스(Satorius), 써모 피셔(Thermo Fisher) 등 주요 협력사의 주요 경영진과 실무자 등 총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전년도 주요 성과를 돌아보고,
삼진제약(Samjin Pharmaceuticals)은 기억, 인지, 혈행 및 호모시스테인(혈관 독소) 수치 관리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스마트 기억&인지 부스터 포스파티딜세린’을 출시, 건강시장 공략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 한 ‘스마트 기억&인지 부스터 포스파티딜세린’은 포스파티딜세린, 은행잎 추출물, 비타민B6, 아연 등 두뇌건강 관리를 위한 성분을 함유, 1일2회 2캡슐의 간편한 섭취를 통한 기억력 개선과 인지력 향상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회사에 따르면 포스파티딜세린은 비유전자변형(Non-GMO)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9일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와 항체-약물접합체(ADC)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올해 3건 이상의 ADC 프로젝트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글로벌 수준의 CDMO, ADC 기술을 보유한 두 회사가 협력해, 글로벌 ADC 시장을 공략하기로 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리가켐바이오는 지난해 2월 CDO 계약을 맺고 ADC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항체 개발 협력을
항체 신약개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와 자가면역질환 신규타깃 항체신약 후보물질의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계약을 8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 계약에 따라 양사는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인자로 주목받고 있는 단백질 타깃(비공개)을 저해하는 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게 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과도한 T세포 활성화를 억제하고, 조절T세포(Treg)의 기능을 정상화해 자가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기존 치료제과 차별화된
서범석 루닛 "‘AI 바이오마커’ 진 적 없어..아예 新영역"
셀트리온, 서울바이오허브와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협약
지피씨알, 유한양행과 ‘비만 GPCR’ 공동개발 계약
HLB펩, 신임 심경재 대표 선임..각자대표 체제로
릴리도, '도나네맙' 유럽 허가거절.."ARIA 또 발목"
노바티스, "결국" ‘플루빅토’ 더초기 전립선암 “美 승인”
‘新TPD’ 프레이저, 시리즈B 290억 유치..J&J 리드
웨이브, '엑손53 ASO' DMD 2상 “1차종결점 달성”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지아이이노베이션, 장명호 대표 선임..이병건 임기만료
[인사]일동제약그룹, 임원 승진 인사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HLB, HLB생명과학 "흡수합병 결정"
큐리언트, '텔라세벡' 결핵 2a상 최종결과 "논문 게재"
이엔셀, 안구질환 AAV ‘개발모델’ 특허 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