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프링웍스 테라퓨틱스(SpringWorks Therapeutics)의 MEK1/2 저해제 ‘미르다메티닙(mirdametinib)’이 지난 11일(현지시간) 희귀 신경종양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미르다메티닙은 총상신경섬유종(plexiform neurofibromas, PN)을 가진 제1형 신경섬유종(neurofibromatosis type 1, NF1)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으며, 제품명 ‘고메클리(Gomekli)’로 시판된다. 특히 바로 전날 독일 머크(Merck KGaA)가 스프링웍스와 M&A
앱큐로(Abcuro)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시리즈C 단계에서 2억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앱큐로는 자가면역질환 등에서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 Tc 세포)를 타깃해 자가면역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다. 앱큐로는 리드 에셋으로 KLRG1(Killer cell lectin like receptor G1) 항체 후보물질 ‘울비프루바트(ulviprubart, ABC008)’을 개발하고 있다. 앱큐로는 이번에 조달한 투자금을 울비프루바트로 진행하는 봉입체근염(inclusion
애브비(Abbvie)가 엑실리오 테라퓨틱스(Xilio Therapeutics)와 T세포 인게이저(TCE) 등 면역치료제 개발을 위한 21억5200만달러 규모의 옵션딜을 체결했다. 애브비는 항암제 부문에서 다중항체(multispecific antibody)를 주요 투자분야 중 하나로 생각하고 집중해 개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TCE 기전의 다중항체에 관심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번에는 종양활성화 항암제 개발을 하는 엑실리오와 종양활성화 기능이 있는 마스킹(masking) TCE 분자(molecule)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손을 잡으
일라이릴리(Eli Lilly)가 방사성의약품(RPT)을 개발하는 어드밴셀(AdvanCell)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했다. 두 회사는 212Pb(납-212) RPT 기반의 항암제를 공동으로 연구개발하고 임상 진행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릴리와 어드밴셀의 파트너십은 지난 2023년 10월 릴리가 포인트 바이오파마(Point Biopharma)를 14억달러에 인수하며 시작됐다. 포인트가 릴리에 인수되기 4개월전에 포인트와 어드밴셀은 212Pb RPT의 공급망과 제조 네트워크 개발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고, 이후 포인트가 릴리에 인수되며 어드
BMS(Bristol Myers Squibb)의 CD19 CAR-T ‘브레얀지(Breyanzi, lisocabtagene maraleuce)’가 재발성, 불응성 변연부림프종(marginal zone lymphoma, MZL) 임상2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거뒀다. 탑라인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에 따라 BMS는 브레얀지의 기존에 승인된 4가지 적응증에 변연부림프종도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브레얀지는 지난해 3월 CAR-T 치료제로서는 처음이자 유일하게 만성림프구성백혈병(chronic lymphocyt
지난해 6월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의 임상단계 자가면역질환 이중항체를 도입한 네비게이터 메디슨(Navigator Medicines)이 CEO와 이사회 의장을 영입하며, 리더십을 강화하고 나섰다. 이는 네비게이터가 작년 8월 시리즈A 1억달러를 펀딩받으며 공식 출범한 이후, 새롭게 업데이트된 움직임이다. 네비게이터 펀딩을 공동리드한 주요 투자자인 RA 캐피털메니지먼트(RA Capital Management)와 포비온(Forbion)과 함께 성공사례를 만들고 있는 인물이 합류했다. 네비게이터는 올해 초기 임상 데이터
노바티스(Novartis)가 안토스 테라퓨틱스(Anthos Therapeutics)를 30억7500만달러 규모에 인수했다. 이번 인수로 노바티스는 이전에 안토스에 매각했던 장기지속형 항응고제인 FXI 항체 ‘아벨라시맙(ableacimab)’을 다시 확보했다. 안토스는 지난 2019년 블랙스톤 라이프사이언스(Blackstone Life Science)가 2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설립한 회사로, 설립과 함께 노바티스가 개발하던 아벨라시맙을 사들였다. 당시 노바티스는 아벨라시맙의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안토스에 매각하고 안토스의 일부
로슈(Roche)가 결국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 ‘에스브리에트(Esbriet, 성분명: pirfenidone)’를 매각한다. 지난 2022년부터 제네릭 출시로 매출이 급감해온 끝에 내린 결정이다. 에스브리에트는 경쟁사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의 ‘오페브(Ofev, nintedanib)’와 함께 IPF 치료제로 승인된 단 2가지 약물 중 하나다. 로슈는 지난 2014년 인터뮨(InterMune)을 83억달러에 인수하며 에스브리에트를 확보했다. 에스브리에트는 유럽(EU)에서는 2011년부터 판매돼왔
미국 하버드대의대 산하기관 다나파버암센터(Dana-Farber Cancer Institute)는 3,4기 투명세포형 신세포암(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ccRCC) 환자의 암 재발을 방지한 신항원 암백신의 초기임상 결과를 내놨다. 백신접종 이후로부터 데이터 마감시점(중앙값 34.7개월)까지도 9명의 모든 환자들에게서 암이 재발하지 않았고, 백신으로 인한 T세포도 166배 증가했다. 다나파버암센터는 지난 5일(현지시간) 개인맞춤형 암백신 ‘NeoVax’을 적용한 신장암 임상1상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
플라이언트 테라퓨틱스(Pliant Therapeutics)는 지난 7일(현지시간) 인테그린(integrin) αvβ6/αvβ1 이중저해제 ‘벡소테그라스트(bexotegrast, PLN-74809)’로 진행하는 특발성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임상2b/3상에서 환자모집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후 플라이언트의 주가는 60% 하락했다. 플라이언트는 독립적인 데이터안전성모니터링위원회(DSMB)의 권고사항에 따라 이같은 중단결정을 내렸다. 다만 플라이언트는 임상중단 권고가 내려진 구체적인 이유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FXxFIXa 이중항체(bispecific antibody)로 개발중인 ‘Mim8’의 임상3상 중간결과에서 A형혈우병 소아환자의 연간출혈률(ABR)을 낮춘 결과를 내놨다. 이번 결과는 Mim8의 소아환자 임상데이터를 처음으로 공개하며 추가한 것으로 Mim8의 시판허가 신청에서 환자 연령을 소아까지 확장하려는 계획으로 보인다. 노보노는 지난해 5월 성인 및 청소년(12세 이상)을 대상으로 Mim8을 월1회 투여해 ABR을 최대 98.7% 감소시킨 FRONTIER2 임상3a상 결과를 발표했다.
BMS(Bristol Myers Squibb)가 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던 IL-13 항체 ‘센다키맙(cendakimab)’의 개발을 중단했다. BMS는 지난해 센다키맙으로 진행한 호산구식도염(eosinophilic esophagitis, EoE)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한 결과를 내놨다. 그럼에도 BMS는 센다키맙이 시장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하며 상업화를 추진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BMS가 센다키맙으로 개발하던 2개 적응증 중 개발단계가 앞서 있는 EoE에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허가를 받은 약물은 지난해 처
일본 쿄와기린(Kyowa Kirin)이 메닌(menin) 저해제 ‘지프토메닙(ziftomenib)’의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임상2상에서 긍정적인 탑라인(top-line) 결과를 내놨다. 쿄와기린은 올해 2분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신청할 계획이다. 메닌저해제는 지난해 11월 AML 타깃으로 새롭게 시장진출에 성공한 기전이다. 신댁스 파마슈티컬(Syndax Pharmaceuticals)의 메닌저해제 ‘레부포지(Revuforj, revumenib)’가 최초로 FDA의 시판허가
글로벌 투자회사인 베인캐피탈(Bain Capital)이 미쓰비시 다나베파마(Mitsubishi Tanabe Pharma)를 33억달러에 인수한다. 다나베파마는 일본의 미쓰비시케미칼그룹(Mitsubishi Chemical Group)의 의약품개발 자회사로, 지난 1678년 설립됐다. 다나베파마는 전세계적로 50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다나베파마는 지난 2017년 루게릭병(ALS) 치료제인 ‘라디카바(Radicava, edaravone)’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시판하고 있다. 라디카바는 ‘리루졸(ri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후속 경구용 보체인자D(CFD) 저해제로 개발하던 ‘베미르코판(vemircopan, ALXN2050)’의 개발을 중단한다. 베미르코판은 아스트라제네카가 지난 2021년 알렉시온 파마슈티컬(Alexion Pharmaceuticals)을 390억달러에 인수하며 확보한 에셋이다. 베미르코판은 아스트라제네카가 경구용 보체인자 파이프라인으로 개발하고 있는 2가지 주요 에셋 중 하나였다. 앞서 지난해 4월 아스트라제네카는 첫번째 CFD 저해제인 ‘보이데야(Voydeya, danicopan)’를 발작성
일본신약(Nippon Shinyaku)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AB2바이오(AB2 Bio)와 IL-18 저해제 ‘타데키닉알파(tadekinig alfa, r-hIL-18BP)’의 미국 판권에 대한 6억86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타데키닉알파는 자가면역질환인 NLRC4(NLR family CARD domain-containing protein 4) 변이 혹은 XIAP(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결핍에 따른 과염증증후군(hyperinflammatory syndrom
서범석 루닛 "‘AI 바이오마커’ 진 적 없어..아예 新영역"
LG화학, 'XO 저해제' 통풍 3상 중단 "상업성 고려, 종료"
美보건부, "대대적 개편" 1만명 감축..FDA 3500명 영향
릴리도, '도나네맙' 유럽 허가거절.."ARIA 또 발목"
펩트론, ‘ADC 효능↑’ 펩타이드 기술 “AACR 발표”
루닛, 美NCI와 'AI 바이오마커' "암 데이터 분석" 착수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인사]제일파마홀딩스, 임원 승진 인사
차바이오텍, 부회장에 최석윤 前메리츠증권 고문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동아ST, 주총서 박재홍 사장 사내이사 재선임
HLB, 사내이사 한용해·사외이사 양충모 교수 신규선임
앱클론, 'EGFRx4-1BB' 대장암 모델서 효능 "AACR 발표"
아이엠바이오 L/O 'OX40LxTNFα' 中 1b상 "IND 승인"
동아쏘시오홀딩스, 사내이사에 이현민 전무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