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제약업계에서 적극적인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으로 바이오텍에 대한 전략적투자(SI)를 활발하게 진행했던 유한양행(Yuhan)이 전략적 투자(SI)를 지양하고, 바이오텍의 유망에셋을 라이선스인(L/I)하는 전략으로 선회했다. 김열홍 유한양행 R&D 총괄사장은 지난 12일 "전략적 투자는 가능하나 이제는 배제하고자 한다"며 "그동안 수많은 전략적 투자를 소규모로 진행하면서 그 투자규모가 현재 5000억원 이상 누적됐는데, 유한양행이 투자를 철수하겠다고 하면 소액투자자들의 비난과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엑싯(exit)을 할 수가 없는 등
아브로바이오(Avrobio)가 인력의 절반을 감축하며 파이프라인 개발을 중단한다. 불과 2달전 노바티스(Novartis)에 희귀 유전질환인 시스틴증(cystinosis)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에셋을 8750만달러에 매각한 이후 결정된 일이다. 아브로바이오는 지난 12일(현지시간) 회사의 전략적 대안에 따라 이같은 프로그램 개발중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아브로바이오는 에셋과 관련된 안전성 문제나 규제당국의 부정적인 검토의견 등은 없었으며,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이번 전략적 대안에
인공지능(AI) 및 러신머닝(ML) 기반 약물발굴 기업 리커전(Recursion Pharmaceuticals)이 엔비디아(NVIDIA)로부터 5000만달러를 투자받고, 엔비디아와 함께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AI 모델을 개발한다. AI분야 선두주자로 글로벌 IT 기업인 엔비디아가 AI 기반의 신약개발 분야로 영역을 넓히는 모습이다. 올해 1월에는 바이엘(Bayer)이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와 AI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맺기도 했다. 리커전은 신약발굴 플랫폼 '리커전OS'를 이용해 개발한 약물의
BMS(Bristol Myers Squibb)가 프로테나(Prothena Corporation)의 알츠하이머병(AD) 타깃 타우(tau) 항체에 대한 권리를 전세계로 확대했다. 해당 ‘PRX005’는 타우의 MTBR(microtubule binding region)을 타깃하는 항체로, BMS는 지난 2021년 프로테나에 8000만달러를 지급하며 PRX005의 미국 권리를 사들였다. 그리고 이번에 55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하며 전세계로까지 권리를 확대한 것이다. 프로테나는 지난 10일(현지시간) BMS가 타우 항체 PRX005의
ADC 테라퓨틱스(ADC Therapeutics, ADCT)가 임상에서 환자사망으로 임상이 중단되면서, 또한번의 역경에 처했다. 바로 2달전 ADC 테라퓨틱스는 오는 2025년까지 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 17%를 해고하고, 파이프라인 우선순위를 재조정하면서 전임상 프로그램 2건을 중단한 바 있다. ADC 테라퓨틱스는 지난 11일(현지시간) CD19 항체-약물접합체(ADC) ‘진론타(Zynlonta, loncastuximab tesirine)’의 임상2상에서 약물투여에 따른 호흡기 관련 부작용(respiratory-relat
유한양행(Yuhan)이 지난달말 국내에서 폐암 1차치료제로 3세대 EGFR TKI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메실산염일수화물)’의 적응증을 넓힌 가운데, 한국인 대상 세부결과를 공개했다. 유한양행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치료제로 렉라자를 평가한 다국가 LASER301 임상3상의 한국인 하위그룹 분석결과가 대한암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CRT(Cancer Research and Treatment)에 게재됐다고 12일 밝혔다. 렉라자는 한국인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서도 1차치료제 세팅에서, 글로벌 임상3상에
노바티스(Novartis)가 끝내 2년전 사들였던 TIGIT 항체 ‘오시퍼리맙(ociperlimab)’의 권리를 반환했다. 노바티스가 차세대 면역항암제로서 TIGIT 붐이 정점을 찍었던 2021년말 중국 베이진(BeiGene)으로부터 계약금 3억달러를 주고 사들인 약물이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로슈와 길리어드, 미국 머크(MSD) 등이 잇따라 폐암 임상결과를 발표하면서 TIGIT 타깃에 대한 기대감은 계속해서 내리막길로 치닫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6월 로슈가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간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TI
에임드바이오(Aimedbio)는 큰 미충족의료수요가 존재하는 교모세포종(GBM)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위해 항체-약물접합체(ADC) 모달리티를 시도하고 있다. 에임드바이오의 설립자인 남도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실제 GBM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진행하면서 이해한 생물학에 기반해 ADC 개발 접근법을 구축했다. 남 CTO는 지난달 30일 삼성서울병원-에임드바이오가 개최한 ‘제1회 ADC 컨퍼런스’에서 회사의 ADC개발 접근법과, 이를 통해 발굴한 리드에셋 ‘FGFR3 ADC’에 대해
애브비(Abbvie)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Humira, adalimumab)가 올해를 기점으로 특허가 만료되면서 휴미라 바이오시밀러가 미국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 7월부터 산도즈(Sandoz), 베링거인겔하임(Boeheringer Ingelheim), 코히러스(Coherus BioSciences), 국내 회사로는 셀트리온(Celltiron),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까지 휴미라 시밀러 판매를 시작하며 경쟁에 돌입했다. 바이오시밀러 간 경쟁에서 약가는 중요한 경쟁요소이다. 그러나 미국의
J&J이 타그리소가 장악하고 있는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치료제 시장에서의 가장 큰 변수이자 대항마로, 올해말 3세대 EGFR TKI ‘레이저티닙(lazertinib)’과 이중항체 ‘아미반타맙(amivantamab)’을 병용투여한 MARIPOSA 임상3상 최종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레이저티닙이 국내 시장에서 폐암 1차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하면서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해가고 있다. 현재로서 J&J는 비소세포폐암 1차치료제에서 MARIOPSA 임상결과에 상당히 자신하고 있다. J&J는 최근 투자자대상 발표자리에서 당
‘CD30 CAR-T' 세포치료제 신약개발을 목표로 출범한 싱가포르 바이오텍 테사 테라퓨틱스(Tessa Therapeutics)가 갑작스러운 폐업소식을 알려 업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테사는 지난해 6월 시리즈A로 총 1억2600만달러를 투자받는 등 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았던 회사여서 더욱 그렇다. 당시 시리즈A 투자에는 폴라리스파트너스(Polaris Partners)가 리드했으며, 테마섹(Temasek holdings), 리타스(Heritas Capital), 헬리코니아(Heliconia Capital Management) 그리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가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로 정식승인되는 첫 사례가 나왔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병기진행을 늦추고, 인지기능 감소를 줄이는 최초의 약물 시판허가 건이다. 알츠하이머병 분야의 기념비적인 마일스톤이다. 아밀로이드베타 항체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가속승인을 받으면서 시장에 출시된지 2년만의 진전이며, 알츠하이머병 분야에서 ‘메만틴(memantine)’을 승인한 이후 20년만에 승인건이다. 이번에 새로운 이정표를 찍은 약물은 바로 지난달 자문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정식승인 권고를 받은 ‘레켐비(Leqe
△HER2, 클라우딘18.2(claudin18.2, CLDN18.2), FOLR1(folate receptor 1) 등을 타깃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개발의 폭발적인 증가. △HER2 ADC 엔허투(Enhertu, T-DXd)의 주변효과(bystander effect)로 인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를 미리 예측하기 위한 페이로드 민감성(payload sensitive) 바이오마커 개발. 이 두가지 움직임의 공통점은 ADC 약물개발에서 조직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환자를 선택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함에 따라 바이오마커 선정
지난 6월 비상장 바이오기업 투자는 단 1곳 260억원으로 집계됐다. 시리즈C 단계 기업의 브릿지 투자로, 지난달에는 신규투자 및 후속투자가 아예 이뤄지지 않는 분위기였다. 올해 상반기 비상장 바이오기업에 대한 총 투자금액은 1528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지난해 상반기 8454억원의 18% 수준에 불과했다. 벤처캐피탈(VC) 등 투자기관들의 비상장 바이오기업에 대한 관심이 완전히 멀어져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반면 상장시장에서는 주주배정 또는 3자배정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소식과 인수소식이 이어
바이오마린 파마슈티컬(BioMarin Pharmaceutical)의 첫 A형 혈우병 유전자치료제가 마침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지난 2019년 미국 허가절차를 시작한지 4년여만에 이뤄낸 성과다. 해당 AAV5 기반 유전자치료제인 ‘록타비안(Roctavian, valoctocogene roxaparvovec-rvox)’은 이미 유럽(EU)에선 지난해 8월 시판허가를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약물의 장기적인 효능과 관련해 FDA가 2차례에 걸쳐 추가적인 임상 데이터를 요구함에 따라 미국내 허가절차가 지연돼 왔다.
CRISPR 기술의 선구자 펑 장(Feng Zhang)이 진핵생물(eukaryote)에 존재하는 ‘Cas 단백질’ ‘판저(Fanzor)’를 새롭게 발견했다. 유전자 편집기술로 잘 알려진 CRISPR/Cas9은 원래 원핵생물(prokaryote)의 시스템으로, DNA 서열과 상응하는 ‘가이드 RNA(guide RNA)’가 특정 유전자를 표적하면 작용인자(effector)인 DNA 절단효소 Cas9 단백질이 해당 표적부위를 절단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CRISPR 시스템은 RNA를 통해 표적을 타깃하는 ‘RNA 가이드 시스템(RNA-g
머크 “마침내 손에” ‘키트루다 SC' vs IV 3상 “성공”
오름, 'GSPT1 DAC' 1상 "SAE 발생..환자모집 중단"
유한양행, 에이프릴바이오 지분 9.84% "전량 매각"
노바티스도 “합류”, ‘in vivo’ CAR-T 비리어드와 딜
J&J “큰 기대”, ‘경구’ IL-23 저해제 건선 3상 “성공”
한미약품, ‘GLP-1’ 비만 3상 모집완료..내년 ‘UCN2’ 1상
GSK, ‘IBAT 저해제’ PBC 소양증 3상 결국 “성공”
‘DAC 잇단 딜’ 오름테라퓨틱, 앞으로 “3가지 과제는?”
유바이오, '新플랫폼 PoC 기반' 프리미엄백신 "본격화"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105만주 블록딜 매각
진에딧, '모더나 출신' 모라 CSO 영입.."면역학 확장"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프로젠, 유한양행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지아이셀, 튀르키예 TCT와 ‘동종 NK’ L/O MOU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 매입
프로티나, JW중외 ‘STAT3 저해제’ 임상솔루션 계약
종근당홀딩스, CKD '트러스트 파트너스 데이'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