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이자(Pfizer)가 시판허가에 성공한지 1년만에 B형혈우병(hemophilia B) 유전자치료제 ‘베크베즈(Beqvez)’의 판매를 중단했다. 1회투여 방식의 유전자치료제로 편의성을 앞세웠음에도 불구, 저조한 판매실적으로 인해 이번 중단결정을 내리게 됐다. 이번 화이자의 베크베즈 시판중단 결정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외신을 통해 알려졌다. 화이자는 혈우병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환자 및 의료진의 수요가 제한적이라고(limited) 설명했으며, 향후 베크베즈의 추가적인 개발, 상업화 활동을 전면 중단할 예정이다. 베크베즈는 AAV
미럼 파마슈티컬(Mirum Pharmaceutical)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담즙산 성분의 치료제 ‘시텍슬리(Ctexli, chenodiol)’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뇌힘줄황색종증(cerebrotendinous xanthomatosis, CTX) 치료제로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시텍슬리는 처음으로 FDA의 승인을 받은 CTX를 적응증으로 하는 약물이다. 이번에 시텍슬리가 CTX 치료제로 승인을 받기 이전에도 마땅한 치료제가 없던 CTX 환자는 오프라벨(off-label)로 시텍슬리의 주요 성분인 케노다이올(cheno
BMS(Bristol Myers Squibb)의 PD-1 항체 ‘옵디보(Opdivo, nivolumab)’가 5년 동안의 평가끝에 폐암 수술전요법(neoadjuvant) 임상3상에서 전체생존기간(OS)을 개선하는데 성공했다. 옵디보는 무사건생존기간(EFS)을 개선한 데이터에 기반해 지난 2022년 비소세포폐암(NSCLC) 수술전요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지난해 4년차 중간분석 평가시점까지도 OS를 유의미하게 개선한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주요 경쟁사인 미국 머크(MSD)의 PD-1
중국의 아스클레티스 파마(Ascletis Pharma)가 경구용 GLP-1 작용제 ‘ASC30’로 진행한 임상1b상 중간용량코호트에서 28일차에 체중을 6.3% 줄인 결과를 내놨다. 이는 위약군보다 6.2%p 더 감량한 결과다. 직접비교는 어렵지만, 이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로슈(Roche)의 경구용 GLP-1 작용제 ‘CT-996’이 임상1상에서 28일차에 위약대조군 대비 6.1%p 줄인 것보다 약간 더 높은 값이다. 아스클레티스는 ASC30의 GI 부작용도 양호하다고 밝히며, 다음달 말에 종료되는 최고용량 코호트까지 진행한
미국 머크가(MSD)가 영국의 에피토피아(Epitopea)와 고형암에 대한 새로운 암특이항원(TSA) 발굴 딜을 체결했다. 이전까지는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던 비암호화(non-coding) DNA로부터 신규 항원을 찾는 전략이다. 에피토피아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머크와 암특이항원(tumor-specific antigen, TSA) 발굴을 위한 연구협력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머크는 에피토피아에 비공개 계약금을 지급한다. 또한 각 타깃에 대해 최대 3억달러의 마일스톤을 에피토피아에 추가
한때 시가총액 100억달러로 드높이 날아올랐던 블루버드바이오(bluebird bio)가 사모펀드에 2900만달러에 매각된다. 가까스로 파산은 면했고, 계약이 마무리되면 비상장 회사로 전환된다. 블루버드바이오는 지난 21일(현지시간) 글로벌 사모펀드인 칼라일(Carlyle)과 미국 투자사 SK캐피탈(SK Capital)에 인수되는 확정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캐피탈은 국내 SK그룹과는 관련이 없는 미국 금융회사이다. 블루버드 이사회는 이번 매각 결정이 주주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하게 실행가능한 옵션(only viab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지난 20일(현지시간) 파이브로젠(FibroGen)의 중국법인을 1억6000만달러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인수가격은 파이브로젠 중국법인의 기업가치(EV) 8500만달러에 중국내 보유현금 추정치 7500만달러를 더해 책정됐다. 파이브로젠은 만성신장질환(CKD)으로 인한 빈혈치료제 ‘록사두스타트(roxadustat)’를 개발한 회사로, 중국법인은 이 약의 개발 및 판매를 위해 운영되고 있다. 록사두스타트는 중국에서 높은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 2023년 중국내 매출은 전년보다 36% 가
멈추지 않는 비소세포폐암 니치시장 HER2 변이 약물개발 경쟁에서,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이 경쟁사인 바이엘(Bayer)보다 먼저 출발한다. 앞서 스펙트럼 파마슈티컬(Spectrum Pharmaceuticals)의 TKI ‘포지오티닙(poziotinib)’이 HER2 엑손20 삽입변이(exon 20 insertion mutation)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미국 허가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던 영역이기도 하다. 독성 대비 효능 이점이 뚜렷하지 않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경쟁은 현재 진행형이고, 베링거인겔하임과 바이엘은
일라이릴리(Eli Lilly)가 GLP-1 경구용 시장을 보는 시각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스케일인 것으로 보이며, 오는 2026년 비만약으로 ‘올포글리프론(orforglipron)’의 첫 출시를 앞두고 이미 5억5000만달러 규모의 ‘출시전 재고(pre-launch inventory)’를 확보했다. 이는 릴리가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소(SEC)에 공시한 내용을 통해 밝혀졌다. 업계에 따르면 이는 코로나19 백신과 맞먹는 수준의 출시전 재고 규모이고, 아직 올포글리프론 출시까지 1년이상의 시간이 남아있다는
크리스 비바커(Chris Viehbacher)가 바이오젠(Biogen)에 CEO로 합류해 2년 넘게 구조조정을 이어오고 있는 가운데, 올해초 강조한 ‘끊임없이 외부를 보는 것(looking outside constantly)’의 첫 움직임을 시작했다. 비바커 대표는 사업개발(BD)이 잠재적인 새로운 R&D 비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금까지 내부 구조조정은 우선순위를 정해 새로운 재무적 여력을 가져오기 위한 것이었고, 비용절감이 목적은 아니었다고 강조해왔다. 그러면서 선택한 것은 가장 바이오젠다운 영역이며, 희귀신경질환이라는 특수
라디언스 바이오파마(Radiance Biopharma)가 중국 CSPC제약(CSPC Pharmaceutical)의 ROR1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SYS6005’를 계약금 1500만달러를 포함해 총 12억4000만달러에 사들였다. 라디언스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중국 CSPC제약(CSPC Pharmaceutical Group)의 미국 자회사인 CSPC메갈리스(CSPC Megalith Biopharmaceutical)와 ROR1 ADC 후보물질 SYS6005의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인(L/I) 하는 계약을 체결했
셉터나(Septerna)가 지난해 10월 나스닥 시장 기업공개(IPO)에 성공한지 4달만에 리드에셋의 임상1상 개발을 중단한다. 셉터나는 내분비질환인 부갑상선기능저하증(HP)을 적응증으로 리드에셋 PTH1R 작용제(agonist) ‘SEP-786’의 호주 임상1상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평가중이던 이번 임상에서 ‘예상치 못한’ 3등급 빌리루빈 수치증가 부작용이 발생하며 중단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셉터나는 GPCR 연구로 지난 2012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레프코위츠(Robert Lef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아커스 바이오사이언스(Arcus Biosciences)의 HIF-2α 저해제 후보물질 ‘카스다티판(casdatifan)’에 대한 라이선스인(L/I) 옵션을 행사하지 않은 채 기한을 넘겼다. 길리어드는 옵션행사를 통해 카스다티판의 라이선스 권리를 사들이는 베팅을 하지는 않았지만 아커스가 최근 진행한 1억5000만달러 규모의 펀딩에 참여함으로써 다음 결과를 볼 수 있는 근거는 마련했다. 이번 옵션행사 기한이 만료되기 직전인, 지난 13~15일(현지시간) 개최된 미국 임상종양학회 비뇨기
엑셀리시스(Exelixis)가 TKI ‘카보메틱스(Cabometyx, cabozantinib)’를 BMS(Bristol Myers Squibb)의 PD-1 항체 ‘옵디보(Opdivo, nivolumab)’, CTLA-4 항체 ‘여보이(Yervoy, ipilimumab)’와 병용한 진행성 신세포암(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aRCC) 임상3상에서 결국 전체생존기간(OS) 개선에 실패했다. 엑셀리시스는 지난 2023년 발표한 임상3상 초기결과에서 카보메틱스+옵디보+여보이 3중병용요법이 옵디보+여보이 병용요
모더나(Moderna)가 첫 노로바이러스 백신으로 개발중인 ‘mRNA-1403’이 임상3상 진행중에 신경염증인 길랑-바레 증후군 부작용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중단(clinical hold) 조치를 받았다. 모더나는 지난해 9월부터 시작한 북반구 참여자들의 백신투여를 마쳤고 현재 남반구 참여자를 모집중이었다.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펩타이드 백신인 화이자(Pfizer)의 ‘아브리스보(Abrysvo)’, GSK의 ‘아렉스비(Arexvy)‘ 임상3
미국 머크(MSD)의 PD-1 블록버스터 ‘키트루다’가 지난해 295억달러가 팔리면서, 세계에서 가장 잘 팔리는 의약품이라는 타이틀을 공고히했다. 전년대비 18% 증가한 수치이다. 이는 2024년 머크의 매출액 642억달러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비중이다. 전년대비 7% 증가했다. 키트루다는 18개 암 41개 적응증에서 처방되고 있고, 이제 초기 치료제 세팅에서도 9개 암 적응증에 대한 라벨을 갖고 있다. 이중 신장암, 삼중음성유방암(TNBC), 자궁경부암 등 4개 적응증에서는 전체생존기간(OS)을 늘린 데이터를 확보했다. 20일
서범석 루닛 "‘AI 바이오마커’ 진 적 없어..아예 新영역"
LG화학, 'XO 저해제' 통풍 3상 중단 "상업성 고려, 종료"
美보건부, "대대적 개편" 1만명 감축..FDA 3500명 영향
펩트론, ‘ADC 효능↑’ 펩타이드 기술 “AACR 발표”
대웅제약, CS파마서 'PRS 저해제' 계약해지 "통보"
릴리도, '도나네맙' 유럽 허가거절.."ARIA 또 발목"
루닛, 美NCI와 'AI 바이오마커' "암 데이터 분석" 착수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인사]제일파마홀딩스, 임원 승진 인사
차바이오텍, 부회장에 최석윤 前메리츠증권 고문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HLB, 사내이사 한용해·사외이사 양충모 교수 신규선임
앱클론, 'EGFRx4-1BB' 대장암 모델서 효능 "AACR 발표"
아이엠바이오 L/O 'OX40LxTNFα' 中 1b상 "IND 승인"
동아쏘시오홀딩스, 사내이사에 이현민 전무 선임
온코닉, ‘PARP/TNKS’ 위암 비임상 “AACR 발표”